올해 제조업 취업자 비중 15.5%…통계 집계 이후 가장 낮아
청년층 고용 붕괴…20대 취업자 비율, 60대보다 낮아져
대미 수출 타격에 고용 전망 '먹구름'…2분기 추가 악화 가능성
국내 전체 취업자 중 제조업 취업자 비중이 올해 15.5%로 떨어지며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미국의 관세 정책 영향이 본격화하면 생산·수출 부진에 따른 제조업 일자리가 더욱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4월 국내 제조업 취업자는 월평균 439만5천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15.5%에 그쳤다. 이는 현행 기준(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으로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한때 20%를 웃돌던 제조업 취업자 비중은 2000년대 중반 이후 16~17%대를 유지하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하락세가 뚜렷해졌다. 지난해(15.6%)에 이어 올해는 더 떨어져 제조업 고용 위축이 심화하는 모습이다.
월별로 보면 올해 ▷1월 15.8% ▷2월 15.6% ▷3월 15.4% ▷4월 15.2%로 하락세가 지속했다. 특히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12만4천명 줄어 2019년 2월(-15만1천명) 이후 6년 2개월 만에 '최대 감소'를 기록했다.
제조업 생산은 지난해 4.4% 늘며 증가세로 전환됐지만, 고용 지표는 개선되지 않고 있다. 고용 유발 효과가 낮은 반도체 중심으로 경기가 회복되는 가운데 기업은 대내외 불확실성 속에 신규 채용을 미루고 있다.
더 심각한 문제는 청년층 취업자 감소다. 올해 1~4월 제조업 취업자 중 20대(20~29세) 비중은 10.6%로 역대 최저치를 나타냈다. 이는 정년을 넘긴 60대(13.2%)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상황은 더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올해 3월부터 시행한 고율 관세 정책이 본격적으로 한국 경제를 압박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이미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했고, 자동차와 부품에도 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도 예고한 상태다.
이러한 관세 충격은 경제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예상보다 0.4%포인트 낮은 -0.2%를 기록하며 역성장했다. 제조업 생산은 화학물질과 기계장비 부진으로 0.8% 감소했다.
수출 지표도 악화하고 있다. 지난달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7% 늘었으나, 조업일수를 고려한 하루평균 수출액은 오히려 0.7% 감소했다. 특히 대미 수출은 6.8% 줄었다. 5월 1~10일 수출은 관세 영향과 조업일수 감소가 겹치며 23.8%나 급감했고, 대미 수출은 30.4%나 감소했다.
업계에서는 관세 충격이 본격화되는 2분기부터 제조업 생산과 수출, 고용 지표가 더 악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이혼 접수 3개월 전 부동산 판 김상욱 의원…재산 분할 덜 해주려고?
홍준표 "대선 끝날 때까지 정치포스팅 중단…당에서 밀려난 처지"
TK서 김문수 지지율 '50%선' 붕괴…국힘, 지역에 의원들 급파
'국힘 탈당' 김상욱, 이재명에 안겼다…"대통령 되는데 최선 다하겠다"
'尹 탈당'…국힘 '원팀' 이뤄 김문수 지지율 반등 시킬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