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일자리 비중 '사상 최저'…관세 충격에 고용 한파 우려

입력 2025-05-18 10:47:45

올해 제조업 취업자 비중 15.5%…통계 집계 이후 가장 낮아
청년층 고용 붕괴…20대 취업자 비율, 60대보다 낮아져
대미 수출 타격에 고용 전망 '먹구름'…2분기 추가 악화 가능성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중견기업 일자리 박람회를 찾은 구직자들이 채용공고 게시물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중견기업 일자리 박람회를 찾은 구직자들이 채용공고 게시물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 전체 취업자 중 제조업 취업자 비중이 올해 15.5%로 떨어지며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미국의 관세 정책 영향이 본격화하면 생산·수출 부진에 따른 제조업 일자리가 더욱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4월 국내 제조업 취업자는 월평균 439만5천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15.5%에 그쳤다. 이는 현행 기준(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으로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한때 20%를 웃돌던 제조업 취업자 비중은 2000년대 중반 이후 16~17%대를 유지하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하락세가 뚜렷해졌다. 지난해(15.6%)에 이어 올해는 더 떨어져 제조업 고용 위축이 심화하는 모습이다.

월별로 보면 올해 ▷1월 15.8% ▷2월 15.6% ▷3월 15.4% ▷4월 15.2%로 하락세가 지속했다. 특히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12만4천명 줄어 2019년 2월(-15만1천명) 이후 6년 2개월 만에 '최대 감소'를 기록했다.

제조업 생산은 지난해 4.4% 늘며 증가세로 전환됐지만, 고용 지표는 개선되지 않고 있다. 고용 유발 효과가 낮은 반도체 중심으로 경기가 회복되는 가운데 기업은 대내외 불확실성 속에 신규 채용을 미루고 있다.

더 심각한 문제는 청년층 취업자 감소다. 올해 1~4월 제조업 취업자 중 20대(20~29세) 비중은 10.6%로 역대 최저치를 나타냈다. 이는 정년을 넘긴 60대(13.2%)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상황은 더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올해 3월부터 시행한 고율 관세 정책이 본격적으로 한국 경제를 압박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이미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했고, 자동차와 부품에도 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도 예고한 상태다.

이러한 관세 충격은 경제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예상보다 0.4%포인트 낮은 -0.2%를 기록하며 역성장했다. 제조업 생산은 화학물질과 기계장비 부진으로 0.8% 감소했다.

수출 지표도 악화하고 있다. 지난달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7% 늘었으나, 조업일수를 고려한 하루평균 수출액은 오히려 0.7% 감소했다. 특히 대미 수출은 6.8% 줄었다. 5월 1~10일 수출은 관세 영향과 조업일수 감소가 겹치며 23.8%나 급감했고, 대미 수출은 30.4%나 감소했다.

업계에서는 관세 충격이 본격화되는 2분기부터 제조업 생산과 수출, 고용 지표가 더 악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