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묘지 참배한 김문수…박관현 열사 묘역서 '눈물'

입력 2025-05-17 11:06:41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17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17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5·18 민주화운동 45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했다.

김 후보는 이날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 참배했다. 국민의힘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과 김기현·이정현·양향자 공동선대위원장 등이 함께했다.

김 후보는 방명록에 "오월 광주 피로 쓴 민주주의"라고 적었다.

참배 후에는 5·18시민군 대변인 윤상원 열사 묘역과 전남대 총학생회장으로 단식 투쟁 중 옥중 사망한 박관현 열사 묘역을 참배했다.

김 후보는 박 열사 묘역에서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김 후보와 박 열사는 세월을 달리하지만 광주교도소 같은 독방에 수감된 인연이 있다.

박 열사는 1978년 전남대 법학과에 입학하며 민주화 투쟁 길을 걸었고, 신군부가 비상계엄을 발령하자 2년간 도피 생활을 하다 1982년 4월 경찰에 붙잡혔다. 내란죄 등으로 5년형을 선고받고 광주교도소에서 5·18 진상 규명 등을 요구하며 옥중 단식을 하다 같은해 세상을 떠났다.

김 후보는 1986년 5월 직선제 개헌투쟁을 하다 구속돼 1988년 3월 광주교도소에 입감됐다가 같은해 10월 개천절 특사로 출소했다.

김 후보는 "제가 박관현 (열사) 방에서 수감 생활했다. 박관현 (열사가) 죽은 뒤 제가 들어가서 1년 동안 생활했다"며 "(박 열사가) 교도소에서 계속 단식하다가 지병으로 돌아가셨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 열사) 누님이 살아계신데 누님이 매년 오신다. 너무나 아픈 추억이 떠오른다"고 했다.

김 후보는 초선 국회의원 때부터 거의 매년 박 열사 묘소를 참배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후보 방문에 항의하는 광주지역단체들의 항의 시위도 벌어졌다. 광주전남촛불행동 소속 회원들은 이날 김 후보를 향해 "내란 세력은 지금 당장 광주를 떠나라"며 항의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