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농식품부 국비사업 본격화…정주 기반·생활서비스 개선 박차

입력 2025-05-15 15:47:50

농촌협약 체결…7개 시군 참여 2천401억원 투입
이밖에도 농촌공간정비사업 등 681억원 국비 확보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DB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DB

경상북도는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농촌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대규모 국비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15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날 농식품부 및 2024년 농촌협약에 선정된 도내 7개 시군(포항·김천·안동·경산·청송·영양·영덕)과 농촌협약 체결식을 갖고,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한다.

이날 체결한 협약에 따라 해당 시군은 오는 2029년까지 5년간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 등 9개 분야, 64개 지구에 총 2천401억원(국비 1천588억원)을 투입해 농촌의 정주기반 확충과 생활서비스 개선에 나선다.

경북도와 각 시군은 이번 사업을 통해 고령화·인구감소 등으로 위기를 겪고 있는 농촌지역의 주거·의료·교통·돌봄 등 일상 서비스 접근성 높이고, 지역 맞춤형 개발에 주력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경북도는 농식품부와의 각종 공모사업을 통해 농촌 정주여건 개선에 나서고 있다. 특히 올해는 ▷농촌협약 신규 대상지(상주·문경, 국비 506억원) ▷농촌공간정비사업(청도·성주·예천, 국비 75억원) ▷농촌청년 보금자리 조성(고령·포항, 국비 100억원) 등 총 681억원 규모의 국비를 확보하며 농촌재생 프로젝트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아울러 농촌 체류형 복합단지 조성, 빈집 재생 지원사업 등 농식품부 주요 사업에도 시군이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전문가 자문과 대상지 발굴 등 맞춤형 지원도 이어갈 방침이다.

도는 농식품부와 함께 추진하는 각종 사업을 통해 농촌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은 물론, 도농 간 균형발전의 실질적 성과를 위해 행정력과 재정 지원을 집중할 계획이다.

김주령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이번 농촌협약은 저출생과 지역소멸, 생활불편 등 복합 위기를 겪고 있는 경북 농촌의 체질을 개선하는 핵심 열쇠가 될 것"이라며 "경북 농업의 미래를 여는 농촌대전환의 중요한 이정표로 삼아 지속적인 국비 확보와 지역 맞춤형 정책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