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마무리는 이호성' 삼성 라이온즈, 흔들리는 불펜 개편

입력 2025-05-11 13:08:03 수정 2025-05-11 18:11:08

김재윤 대신 신예 이호성으로 마무리 교체
구위 떨어진 김재윤, 피홈런 많고 삼진 적어
구위 좋은 3년 차 불펜 이호성, 소방수 맡아

삼성 라이온즈의 신예 불펜 이호성. 삼성 제공
삼성 라이온즈의 신예 불펜 이호성. 삼성 제공

철벽같던 뒷문도 이젠 옛 추억이다. 고전 중인 삼성 라이온즈가 마무리 투수 교체라는 승부수를 던졌다. 2025시즌 KBO 프로야구 대권을 노려보려면 마무리를 비롯해 불펜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절박함에서 나온 조치다.

타선이 폭발하지 않으면 불안하다. 큰 점수 차가 아니라면 마음을 놓기 어렵다. 삼성에겐 낯선 일이다. 오랫동안 남의 일이어서 더 그렇다. 마무리가 불안하다는 건 여러 구단이 흔히들 해온 말. 하지만 삼성은 오승환이 있어 긴 세월 그런 고민을 잊고 지냈다.

하지만 오승환도 세월을 거스르진 못했다. 스물셋이던 2005년 마무리를 맡았는데 이젠 그도 마흔둘. 구위가 떨어졌다. 예전처럼 타자를 압도하지 못했다. 지난 시즌 도중 김재윤에게 마무리 자리를 넘겼다. 올 시즌 출발도 좋지 않다. 2군에서 몸을 만드는 중이다.

삼성 라이온즈의 오승환. 삼성 제공
삼성 라이온즈의 오승환. 삼성 제공

한데 올 시즌 마무리 김재윤이 불안하다. 아무리 좋은 마무리라도 두들겨 맞는 경우는 나오기 마련. 하지만 김재윤은 자주 흔들린다는 게 문제다. 5세이브를 기록하는 동안 블론세이브(Blown Save·동점이나 역전을 허용해 세이브 기회를 날린 것)가 2개다.

묵직한 속구(포심패스트볼)가 김재윤의 주무기. 하지만 구속이 시속 140㎞대 초반으로 떨어졌다. 구속이 곧 구위를 의미하는 건 아니다. 구속에다 공의 회전 수와 움직임 등을 따져 구위를 평가한다. 김재윤은 현재 타자를 압도하지 못한다. 구위가 좋지 않아서다.

삼진을 많이 잡거나 장타를 적게 내주면 구위가 좋다고 표현할 수 있다. 김재윤은 KT 위즈에서 마무리로 뛰던 시절 구위가 좋은 투수였다. 삼진이 많고 피홈런이 적었다. 2023년만 해도 65⅔이닝을 소화하면서 삼진은 60개를 기록했다. 피홈런은 2개에 불과했다.

삼성 라이온즈의 김재윤. 삼성 제공
삼성 라이온즈의 김재윤. 삼성 제공

하지만 삼성으로 옮겨온 지난해부턴 다르다. 2024년 66이닝 동안 피홈런이 13개였다. 2023년보다 11개나 더 맞았다. 반면 삼진은 51개로 2023년보다 9개 줄었다. 평균자책점도 2023년 2.60으로 좋았지만 2024년에는 4.09로 크게 높아졌다.

이번 시즌(11일 경기 전 기준)은 더 좋지 않다. 15이닝 동안 피홈런 4개, 삼진 9개. 홈런은 많이 맞고 삼진은 너무 적었다. 이런 추세라면 지난해와 같은 이닝을 소화한다고 가정할 때 이번 시즌 최종 기록은 피홈런 17개, 삼진 39개 정도일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 라이온즈의 이호성. 삼성 제공
삼성 라이온즈의 이호성. 삼성 제공

결국 삼성은 칼을 빼들었다. 신예 이호성을 새 소방수로 낙점했다. 이호성의 속구 구속은 시속 150㎞에 육박한다. 강속구 불펜 김무신과 이재희가 팔꿈치 부상으로 이탈, 현재로선 불펜 중 이호성의 구위가 가장 좋다는 게 박진만 감독의 평가다.

3년 차인 이호성은 2004년 8월생이니 아직 20살. 어린 게 문제는 아니다. 한화 이글스의 마무리 김서현도 2004년생. 두산 베어스의 마무리 김택연은 2005년생으로 이호성의 인천고 1년 후배다. 마무리라는 압박감만 이겨낸다면 순항할 가능성이 보이는 자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