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용정보원 '지역노동시장 양극화와 일자리 정책과제'
신규 취업자 150만 명 중 47% 수도권 신도시 집중…수원·화성·용인 등 두드러져
지방 광역시 고용 부진 뚜렷…서울·인천 증가폭이 5대 광역시 전체보다 많아
고령·의성·경주 등 지방 중소도시 고용 급감…"지역 제조업 회복이 해법"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늘어난 취업자의 절반 가까이가 수도권 신도시와 서울·인천 등지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과 수도권 간 일자리 양극화가 심화하면서 제조업 중심의 지역 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맞춤형 일자리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고용정보원은 9일 발표한 '지역 노동시장 양극화와 일자리 정책과제' 보고서에서 "2013년부터 2023년까지 10년 동안 전국 취업자 수 증가분 331만명 중 약 46.8%에 이르는 150만명이 수도권 신도시에 집중됐다"고 밝혔다.
고용정보원이 통계청 지역별 고용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기간 취업자 수가 증가한 상위 20개 시·군 가운데 12곳이 수원 등 수도권 신도시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경기 남부의 수원, 화성, 용인, 시흥 등이 일자리 증가를 주도한 대표 지역으로 꼽혔다.
비수도권에서는 세종, 전남 나주, 전북 완주 등 혁신도시와 수도권 인접 지역인 충북 진천, 충남 계룡·아산, 강원 춘천 등이 그나마 취업자 증가세를 보였다.
주요 광역시도 수도권 취업자 증가세를 따라가지 못했다. 같은 기간 광주, 대구, 대전, 부산, 울산 등 5개 광역시 취업자 수 증가분(21만명)은 인천(24만8천명)보다 적었다. 서울(19만2천명)과 인천을 취업자 증가폭은 5대 광역시 전체를 2배 이상 앞섰다.
취업자 수가 크게 줄어든 하위 20개 지역에는 경북 고령(3천80명 감소, -15.2%)과 의성(2천185명, -6.4%) 등 영호남 시·군이 다수 포함됐다. 조선업 구조조정의 직격탄을 맞은 경남 통영, 폐광 이후 대체 산업 육성에 어려움을 겪은 강원 태백 등도 대표적 취업자 감소 지역에 이름을 올렸다. 경주도 자동차 부품 산업 침체의 여파로 고용 위축이 두드러졌다.
이상호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지역의 인재 유출, 특히 청년층 유출과 제조업 쇠퇴에 가장 큰 원인이 있다"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 중소기업의 일자리 질을 개선하는 지원 정책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성동 "김문수, 알량한 후보자리 지키려 회견…한심한 모습"
홍준표, 尹·한덕수 맹공 "김문수 밀어줘 나 떨어트리더니…"
'이재명 파기환송심' 대선 이후로 연기…"6월 18일"
한덕수 "김문수, 약속 지켜야…사실 아닌 주장 계속되면 바로잡을 것"
金-韓 단일화 2차 담판도 파행 …파국 치닫는 '反이재명 빅텐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