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부 협력 의사 밝혀…전문 인력등 전략적 지원 필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미국 내 조선산업 부흥 정책을 다시 추진하면서 한국 조선업 부흥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다만, 미국 현지 투자의 한계와 국내 인력난 등 극복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미국 조선 산업 관련 정책 주요 내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조선 시장에서 한국은 6년 연속 중국에 이어 수주 점유율 2위를 기록했다.
작년 한국의 수주 점유율은 16.7%로, 1위 중국(70.6%)에 크게 못 미쳤고, 3위 일본(4.9%)에는 크게 앞섰다.
한국 조선업은 핵심 수출 품목인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및 초대형 컨테이너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의 수출 회복세에 힘입어 지난해 수출이 전년 대비 17.6% 증가한 256억4천만달러(약 36조원)를 달성하는 등 반등했다.
최근 미국이 중국산 선박에 대해 입항료를 부과하고, 자국 조선업 보호·육성을 위해 관련 정책·입법에 나서고 있다는 점도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
이달 2일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관련 보도에서 한화오션이 지난해 인수한 미국 필라델피아 조선소에도 주문량이 증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유지·보수·정비(MRO) ▷LNG선 ▷군함 건조 등 3대 분야에대해 한국과 협력 의사를 보이고 있다.
미 회계감사원 자료에 따르면 작년 11월 기준 미국 해군이 전개 중인 전함은 149척에 달하며 이들 전함 MRO 사업에 지출되는 예산은 연간 60억∼74억달러(약 8조8천억∼10조8천억원) 규모다.
그러나 급증하는 MRO 수요에도 국내 조선소 부족, 설비 노후화 등 문제로 미 해군은 자국 MRO를 일본과 한국 등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다. 국내 기업 중 HD현대중공업와 한화오션 등 한국 기업이 미 해군과 함정정비협약(MSRA)을 체결하는 등 미 해군 MRO 시장에서 급부상 중이다.
또 알래스카 LNG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LNG 운반선, 해양 석유시추선 등에 대한 미국 행정부의 수요도 증가할 수 있다.
반면 미국 내 일각에서 자국 조선업 보호 여론, 일부 정치권의 반발, 군사기술 유출에 대한 우려 등도 있어 협력을 낙관하기만은 어렵다는 해석도 공존한다.
한아름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국내 조선업계는 수요 편중, 인력 불균형, 기술 투자 정체 등 구조적 한계로 대외 수요 증가에 즉각 대응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MRO 역량 강화와 연구개발(R&D) 인력 확충, 세제·예산 등 정부의 전략적 지원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고 부흥의 기회를 살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험지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을…온갖 모함 당해"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