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 실패 책임, 고령의 나이…한덕수 경쟁력은?

입력 2025-05-01 18:21:28 수정 2025-05-01 20:33:27

한덕수, 트럼프 통화하고 지지율 상승세
각종 리스크도 상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대국민담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대국민담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일 공직을 사퇴하며 사실상 대선행보에 나선 가운데 그의 경쟁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약 3주 전부터 대통령 후보 지지도 조사에 등장한 한 전 총리는 지난달 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 이후 본격적인 지지율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다. 국제적으로 '트럼프발 관세전쟁'이 화두로 떠오르자 정통 경제관료 출신에다 주미대사 이력이 있는 한 전 총리가 대통령 적임자라는 여론이 커졌기 때문이다.

문제는 기대가 큰 만큼 각종 리스크도 상존한다는 것이다. 이번 대선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치러지는 만큼 윤 정부 내내 국무총리를 맡았던 한 전 총리 역시 '책임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전망이다.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내란 정권의 2인자이자 내란 피의자인, '내란 대행' 한덕수 총리가 결국 출마를 전제로 한 사퇴를 감행했다"며 "탐욕에 눈멀어 국정을 내팽개친 한덕수 총리의 앞에는 국민의 가혹한 심판이 기다릴 뿐"이라고 말했다.

1949년생으로 올해 75세인 나이도 걸림돌이다. 우리나라 대통령 중 최고령 당선자로 74세 취임한 김대중 전 대통령보다 1살 더 많다. 1970년 행정고시 합격 후 공직 활동만 이어가 정치 경험이 부족하다는 것도 단점으로 꼽히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결국 선거는 상대적이다. 상대와 비교해 한 대행의 단점을 메우고, 장점을 극대화하는 것이 관건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