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기업 5곳 중 2곳 52시간제 준수 어려움 겪어

입력 2025-05-01 15:11:49

벤처기업협회제공
벤처기업협회제공

벤처기업 5곳 중 2곳은 '주 52시간제' 준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기업협회는 567개 기업 대표와 인사 담당 임원을 대상으로 주 52시간제 운영 실태와 애로를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41.1%가 주 52시간제 준수에 "어려움이 있다"고 답했다고 1일 밝혔다.

업종별로는 제조업(44.4%)이 서비스업(35.8%)보다 제도 준수에 더 어려움을 겪다. 특히 50인 이상 기업은 70% 이상이 제도 준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해 고용 규모가 클수록 주 52시간제 준수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벤처기업들은 주 52시간제 준수를 위해 납기일 준수와 수주 포기 등 '생산성 저하 및 운영 차질'(42.5%), 구인난과 인건비 부담 등 '인력 문제'(30.1), 설비투자와 관리 비용 증가 등 '비용 부담'(17.1%) 등의 애로를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주 52시간제 대응을 위해 채용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은 34.2%였고, 채용 없이 내부 운영방식 개선을 통해 근로 시간 제도를 준수하려는 기업은 33.7%로 나타났다.

벤처기업의 58.0%는 유연근무제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었다. 서비스업(75.8%)이 제조업(47.1%)보다 유연근무제 도입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연근무제의 유형으로는 '출퇴근 시간 유연'이 46.1%로 가장 많았고, '근로 시간 조정'(31.1%), '근무 장소 유연'(19.2%) 등의 순이었다.

벤처기업들은 일정 기간 근로 시간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근로 시간 총량제' 도입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응답 기업의 68.4%는 근로 시간 총량제가 도입되면 활용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근로 시간 총량제 도입이 필요한 직군으로 '기술·개발' 직군이 52.9%로 가장 많았고 '기획·디자인'(18.2%), '영업·사업개발'(13.6%) 순이었다.

벤처기업협회 관계자는" 획일적인 근로시간제도인 주52시간제 도입으로 벤처기업의 생산성이 악화하고 비용 부담이 증가한다"며 "글로벌 경쟁력도 저하되고 자율적 열정과 유연성이 무기인 벤처기업의 문화가 훼손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벤처기업이 자율성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혁신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연장근로의 관리 단위를 주 단위에서 월·분기·연 단위로 확장해야 한다"며 "연구개발 등 핵심 인력에 대해서는 근로 시간 예외 규정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