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의 1 불탄 주왕산' 재발 막자…국립공원공단 사업에 '산불 예방' 명시

입력 2025-04-28 11:04:07

임이자 의원, 공단법 개정안 대표 발의
산불예방진화대 등 근거 담은 산림재난방지법 개정안도
임 의원, "국립공원 재난 대응 역량 획기적 제고"

지난 3월 26일 오후 경북 청송군 주왕산면 주왕산국립공원이 기암 절벽 괴석 뒷쪽 능선을 따라 불길이 번져 연기가자욱하게 퍼진 모습이다. 화선 아래에는
지난 3월 26일 오후 경북 청송군 주왕산면 주왕산국립공원이 기암 절벽 괴석 뒷쪽 능선을 따라 불길이 번져 연기가자욱하게 퍼진 모습이다. 화선 아래에는 '천년고찰' 대전사가 자리 잡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국립공원공단의 법정 사업에 산불 예방과 재난 대응을 포함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최근 경북 북동부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주왕산국립공원 전체 면적(1만610ha)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3천260ha가 소실되는 등 국립공원이 산불 취약 지역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28일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상주문경)에 따르면 주왕산국립공원 등 전국 21개 국립공원을 관리하는 국립공원공단 법정 사업에는 산불 예방 및 재난 대응이 포함돼 있지 않다. 공단 측은 관련 사업 추진과 예산 확보, 공원사무소 차원의 전문 산불 진화 인력 구성 등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에 임이자 의원은 최근 국립공원공단 법정 사업에 산불 예방 및 재난 지원 사업을 명시하는 국립공원공단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국립공원에 전문 산불 진화 인력을 확보하는 내용의 산림재난방지법 개정안도 함께 내놓았다.

법안이 개정되면 각 공원사무소에 산불 진화 교육과 훈련을 이수한 인력으로 구성된 산불예방진화대 및 산불재난특수진화대를 운영할 수 있게 된다.

임이자 의원은 "기후변화로 산불이 연중화되고 대형화되는 현실에서 국립공원 특성에 맞는 전문 대응 체계 구축은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이번 법안이 조속히 통과돼 국립공원 내 재난 대응 역량을 획기적으로 높이길 기대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