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능 불안감 여전…거주지역 건설 반대 이유 60%는 '방사능 노출'
국민 10명 중 9명은 원자력발전(원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70% 이상이 원전이 안전하다고 답했지만,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에 원전이 건설되는 것은 반대한다는 의견이 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방사능 노출을 우려한다는 모순적 이유였다.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은 27일 '2025년 1차 에너지 국민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여론조사 업체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이 에너지정보문화재단 의뢰를 받아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1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국민 2천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그 결과 응답자의 87.0%는 '원전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직전 조사였던 지난해 4분기(80.8%)보다 6.2%포인트(p) 늘었다. 2023년 조사 이후 가장 높은 수치라는 것이 재단 측 설명했다.
반면 원전이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지난해 4분기 16.7%에서 5.5%p 내린 11.2%로 나타났다.
원전 안전성에 대해 응답자의 75.5%는 '안전하다'고 답했다. 71.2%는 '국내 원전의 방사성 폐기물 관리 안전성에 동의한다'고 응답했다. 원전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설계·건설·운영 등 기술 전반에 대한 신뢰'가 37.6%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전 세계적으로 이미 운전 중이어서(22.6%) ▷정부 및 규제기관의 철저한 안전관리(20.7%) ▷전문가나 관련 종사자들이 안전하다고 해서(17.0%) 등 순으로 나타났다.
원전 계속운전에 대해서는 응답자 70.9%가 찬성했다. 원자력 발전량에 대해서는 60.1%가 '지금보다 늘려야 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거주지에 원전이 건설될 경우 '반대할 것'이라는 응답이 51.3%로 '찬성할 것'(46.2%)이라는 응답보다 높았다. 반대 이유로는 '방사능 노출에 대한 위험 우려'가 60.0%로 가장 많았고, 찬성 이유로는 '에너지 자립을 위해 필요하다'가 48.0%로 가장 많았다. 아울러 응답자의 대다수인 91.8%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마련이 시급하다'고 응답했다.
2월 확정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실현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낮음'이라고 답한 비율(43.6%)이 '높음'(40.4%)을 웃돌았다. 11차 전기본에는 대형 원전 2기와 소형모듈원자로(SMR) 1기 등 신규 원전 3기를 2038년까지 짓는 내용이 담겼다. 실현 가능성을 낮게 본 이유로는 '에너지 정책의 일관성 부족'이 43.9%로 1위를 기록했다.
국민이 생각하는 에너지 현안은 ▷전기요금 안정화(36.5%) ▷탄소 중립 목표 달성(24.4%) ▷전력망 안정화 및 에너지 안보(각 17.0%) 등 순이었다. 전기요금과 관련해서는 ▷현행 유지(49.0%) ▷인하(28.4%) ▷인상(21.0%) 등의 의견을 나타냈다. 요금 인상이 필요한 분야는 산업용, 요금 인하가 필요한 분야는 주택용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조사는 면접원을 통한 전화조사로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2%p다. 전화조사 응답률은 9.0%다.
댓글 많은 뉴스
문형배, 尹 파면 후 "대통령·국회 갈등 해결 방도 없어"
이재명 "수도권 주요 거점을 1시간 경제권으로 연결"
안철수 "한덕수는 출마 포기, 김문수·한동훈은 결단해야"
[단독] 국민의힘, '한동훈 명의 당원게시판 사태' 덮었다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TK 출신 6번째 대통령 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