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크롬에 붙이면 놀라운 경험" 오픈AI, 크롬 인수 의향 밝혀

입력 2025-04-23 09:19:38

오픈AI 로고.
오픈AI 로고.

구글의 시장 지배력에 대한 법적 공방이 이어지는 가운데, 인공지능(AI) 분야 선두 주자인 오픈AI가 의외의 발언으로 눈길을 끌었다.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반독점 재판에서 오픈AI 측이 구글 크롬 브라우저에 대해 공개적인 인수 의향을 밝힌 것이다.

22일(현지시간) 미 연방지방법원에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닉 털리 오픈AI 챗GPT 총괄은 "구글이 브라우저 사업부 매각 명령을 받을 경우 크롬 인수에 관심이 있느냐"는 질의에 "그렇다"고 답했다. 털리는 이어 "크롬에 챗GPT를 통합할 수 있다면, 전례 없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AI를 전면에 내세운 새로운 웹 환경에 대한 구상을 드러냈다.

오픈AI의 이러한 행보는 자사 AI 플랫폼의 '접점 확대'가 절실하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석된다. 털리는 이날 재판에서 현재 오픈AI가 직면한 가장 큰 과제로 '유통 경로의 제한'을 언급하며, 자사 서비스가 사용자의 손에 제대로 닿지 못하는 현실을 지적했다.

그는 "우리는 이미 애플과 제휴를 맺고 챗GPT를 아이폰에 통합했지만, 구글이 주도하는 안드로이드 진영과의 협력은 여전히 성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현재 구글은 자사의 AI 챗봇 '제미나이'를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통합하며 시장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삼성전자 역시 올해 출시된 갤럭시 스마트폰에 제미나이를 기본 탑재하며 구글과 보조를 맞추고 있다.

털리는 "안드로이드 제조사들과의 접촉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협상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브라우저나 앱스토어와 같이 사용자 접점을 좌우하는 핵심 플랫폼을 특정 기업들이 장악하고 있는 점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 "사람들은 저희 제품을 찾기 위해 브라우저나 앱스토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며 "그런 경로를 지배하는 기업들이 우리 같은 서비스를 배제할 수 있는 상황은 매우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기술 기업이 경쟁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사용자 선택권이 실질적으로 보장되지 않는 구조는 바뀌어야 한다"며, 거대 플랫폼 기업들의 영향력에 제동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미 법무부는 현재 구글이 검색 엔진 시장과 관련 서비스에서 시장 지배적 지위를 남용했는지를 두고 본격적인 심리에 착수한 상태다. 재판 과정에서 구글이 보유한 크롬 브라우저와 검색엔진의 연계 구조가 집중적으로 도마에 오르며, 향후 크롬의 사업 구조 자체가 변동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날 재판에서는 구글이 자사 검색 엔진을 자사 브라우저에 기본 설정하는 관행이 공정한 경쟁을 저해하는지 여부와 관련해 업계 관계자들의 증언도 잇따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