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갈등·고금리·소비부진 겹쳐…세계 성장률도 2.8%로 낮춰
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기존 2.0%에서 1.0%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주요국 가운데 가장 큰 하락폭으로 글로벌 둔화 흐름 속에서도 한국 경제가 특히 부진할 것이라는 경고다.
IMF는 22일(현지시간) 발표한 '4월 세계경제전망'에서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1.0%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 1월 전망보다 1.0%포인트(p) 낮은 수치다. 주요 선진국 중 가장 큰 폭의 하향 조정이다. 보고서 본문에는 한국 관련 별도 분석 없이 수치만 부록에 표기됐다.
이번 전망에서 IMF는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반영해 '기준 전망'과 '보완 전망'을 함께 제시했다. 국가의 성장률은 기준 전망에 포함됐다. 4일을 기준점으로 한 기준 전망에서 IMF는 무역긴장 등 글로벌 불확실성을 반영해 대부분 국가의 성장률 전망을 내렸다.
기준 전망을 보면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2.8%로 전망했다. 이는 기존보다 0.5%p 낮은 수치다. 선진국의 성장률은 1.4%(-0.5%p)로 조정됐으며, 미국(1.8%)은 정책 불확실성, 무역 긴장, 소비 회복 지연 등으로 1월 전망대비 0.9%p 내려갔다. 영국(1.1%), 독일(0.0%), 프랑스(0.6%) 등 대부분 유럽 국가와 일본(0.6%)도 일제히 하향 조정됐다. 중국도 무역 긴장과 관세 여파로 4.0%(-0.6%p)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다.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하방 요인에 집중되고 있다"며 "특히 무역갈등 등 정책 불확성 확대가 소비·투자 위축으로 이어지고, 고금리와 높은 국가부채가 재정·통화정책 여력을 제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미국의 조치 인하와 상호 협상 등이 진전될 경우 세계 경제의 상방 조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IMF는 "예측가능한 무역환경 조성을 위해 무분별한 산업 보조금을 지양하고, 지역·다자간 무역협정 확대를 통한 무역 분절화 방지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자본 변동성 확대에 대응하여 국가별 금융·외환시장 성숙도에 맞는 적절한 개입 및 건전성 조치를 시행할 것"을 권고했다.
그러면서 중기 성장 잠재력 회복을 위해 여성·고령층 노동력 활용, 인공지능(AI)·디지털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