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장애인 포함 '맞춤형 평생학습'
사용기관 54곳, 이달 24일부터 접수 시작
부정 사용 방지 및 투명한 집행도 강화
대구시가 시민 누구나 평생 학습 기회를 누릴 수 있도록 '평생교육 이용권'을 확대 시행한다.
올해부터 저소득층 성인뿐만 아니라 노인, 장애인, 디지털 소외계층까지 지원 대상을 넓혀 교육 바우처를 배포한다. 이를 통해 시는 교육 격차 해소와 사회통합에 이바지하는 평생교육 기반을 다지겠다는 계획이다.
대구시는 이달부터 내년 3월까지 17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시민들에게 1인당 35만원 상당의 평생교육 수강료와 재료비를 지원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대구행복진흥사회서비스원이 위탁 운영하며, 교육부와 지자체가 7대3 비율로 예산을 공동으로 부담한다.
올해는 지난해와 비교해 지원 규모를 크게 늘린 것이 특징이다. 지난해는 일반 이용권 3천282명과 장애인 364명이 대상이었으나, 올해는 일반 4천290명을 비롯해 장애인(534명)과 노인(331명) 등 모두 4천824명으로 확대됐다.
대상자는 기초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과 더불어 고령자(65세 이상), 30세 이상 디지털 취약계층, 등록 장애인 등이다. 이용권은 국가장학금, 다른 평생교육 이용권 등과 중복 수혜가 불가능하다.
이용권은 대구 내 등록된 54곳 평생교육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교육과정 수강료와 교재비로 지불이 가능하다. 신청은 1차(이달 24일~내달 14일)와 2차(6월 이후)로 나눠 진행되며, 1차 선정자는 내달 중 발표된다. 선정된 시민은 카드 형태의 이용권을 발급받아 연말까지 사용할 수 있다.
신청은 평생교육이용권 및 보조금24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다. 1차 접수 대상은 대구시에 주소를 둔 19세 이상 기초 수급자, 차상위 계층, 한부모 가정 및 등록 장애인 등이다. 노인 및 디지털 이용권은 2차 모집을 통해 별도 접수한다.
대구시는 이용권 부정 사용 방지를 위해 온라인 신고센터를 운영하고, 신청자에게 사전 안내 문자를 발송할 계획이다. 사용기관에는 서약서와 자가 점검 체크리스트 제출을 의무화해, 교육 바우처가 실제 평생학습으로 이어지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정재석 대구시 대학정책국장은 "인구 구조의 변화에 따른 평생학습의 중요성과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율이 증가하고 있다"며 "시민들의 다양한 평생교육 수요를 충족하고, 나아가 평생교육을 통한 성인 교육복지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TK 출신 6번째 대통령 되나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