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고한 나눔, 기적 같은 선물] (4) "죽음 끝에서 묻습니다, 누군가의 삶을 살릴 수 있겠습니까"

입력 2025-05-14 16:25:09 수정 2025-05-14 20:23:14

간호사에서 코디네이터로…"뜻깊은 장기기증 현장의 중심이 되고 싶었다"
면담 대상은 사랑하는 가족을 떠나보내는 사람들, 정보 전달보다 감정적으로 공감이 우선
보호자 동의 위해 교도소까지 다녀와…2~3시간 지역 곳곳 오가는 건 기본

24일 대구 계명대학교 성서동산병원에서 김경수 장기 구득 코디네이터가 중환자실 앞에서 통화를 하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24일 대구 계명대학교 성서동산병원에서 김경수 장기 구득 코디네이터가 중환자실 앞에서 통화를 하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세상에서 가장 슬픈 사람들을 면담하고 있습니다. '내 가족이 곧 세상을 떠난다'는 이야기를 들은 이들에게 장기기증 의사를 묻는 건 쉽지 않습니다. 말 한마디조차 조심스럽지만 반드시 우리가 해야 할 일입니다."

사랑하는 가족의 죽음을 앞둔 이들에게 누군가는 말해야 한다. 한 생의 마지막이 또 다른 생명의 내일이 될 수 있도록 해주겠냐고. 불쾌하다는 항의부터 때로는 분노를 온몸으로 마주해야 하는 순간도 있다.

'안녕하세요'라는 인사조차 꺼낼 수 없는 이들은 장기구득 코디네이터들이다. 기적의 시작점에 선 코디네이터들은 병원 곳곳을 오가며 생명나눔의 문을 두드린다.

◆ 간호사에서 코디네이터가 되기까지

김경수(37) 씨는 보건복지부 산하의 한국장기조직기증원(코다) 소속 장기구득 코디네이터다. 12년 차 베테랑으로 현재 영남권역 과장을 맡고 있다. 뇌사 추정자가 발생한 병원은 코다에 통보를 해야 한다. 이때 해당 병원으로 출동해 보호자 면담부터 장기를 구득하는 것이 그의 주된 업무다.

보호자에게 최종 동의를 받으면 1·2차 뇌파 검사부터 뇌사 판정, 장기 적출 수술까지 모든 과정을 조율하고 있다. 전국에 경수 씨와 같은 구득 코디네이터들은 55명이다.

24일 대구 계명대학교 성서동산병원에서 김경수 장기 구득 코디네이터가 중환자실 앞에서 통화를 하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24일 대구 계명대학교 성서동산병원에서 김경수 장기 구득 코디네이터가 중환자실 앞에서 통화를 하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경수 씨의 첫 시작은 간호사였다. 2012년 울산대병원에서 근무하던 도중 뜻깊은 장기기증 현장에서 중심이 되고 싶었다.

"장기기증을 위한 수술실이었지요. 일반 수술은 4명 안팎의 의료진이 참여하지만, 기증 수술은 장기별로 의사들이 직접 투입돼 10명 이상이 움직입니다. 그 복잡한 과정을 매끄럽게 조율하는 코디네이터 역할에 깊은 인상을 받았어요. 생명을 잇는 데 직접 기여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장기구득 코디네이터가 되기 위해선 400병상 이상 병원에서의 2년 근무 경력이 필요하다. 그렇게 2014년 7월 1일부터 코디네이터로 첫발을 내디뎠다. 그가 지금까지 면담한 가족만 1천건이다. 한 해에 20여 건이 경수 씨의 면담을 통해 기증이 이뤄지고 있다.

◆ 장기기증 동의서 한 장을 위해 교도소까지

신입이었던 1~2년 차에는 모든 것이 쉽지 않았다. 장기구득 면담에서 '정보 전달'에만 급급하면서 기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적었다.

"뇌사란 무엇이고 장기기증 절차를 설명한 뒤 동의 여부를 물었어요. 그런데 이 방식이 잘못됐다는 것을 금방 깨달았습니다."

면담 대상은 사랑하는 가족을 눈앞에서 떠나보내는 사람들이다. 기증 정보를 전하기 전에 그들의 감정을 공감해야 했다. 갑작스러운 사고로 자식이나 배우자를 잃고 눈물조차 멈추지 못할 땐, 그저 충분히 기다려주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

"기증을 한 번도 생각해 본 적 없는 분들이 저희를 경계하는 마음, 잘 압니다. '아파서 누워있는 환자에게 칼을 한 번 더 들이미는 게 말이 되냐'는 인식이 많죠. 그 마음을 충분히 헤아리면서 위로를 건네야 합니다."

지난 3월 13일 부산역 인근 한 카페에서 만난 김경수 장기 구득 코디네이터가 업무를 위해 모니터를 들여다보고 있다. 임재환 기자
지난 3월 13일 부산역 인근 한 카페에서 만난 김경수 장기 구득 코디네이터가 업무를 위해 모니터를 들여다보고 있다. 임재환 기자

아픔을 같이 공감하기 위해선 1부터 100까지 경우의 수를 고민하고 있다. 경수 씨는 면담 전에 환자의 나이, 성별, 사고 경위 등을 살핀다. 의료진에게 보호자의 정서적 상태나 예민한 사안을 미리 파악하는 것도 중요한 준비 과정이다.

장기기증을 빠르게 결정할수록 이식 가능한 장기의 수는 많아진다. 그럼에도 유족을 재촉해선 절대 안 된다고 강조했다.

"장기기증은 남겨진 가족들이 평생 안고 가야 할 선택이에요. 그만큼 시간을 들여 충분히 고민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장기기증은 최대 9명의 생명을 살릴 정도로 고귀하지만, 실제로 면담의 3분의 2는 최종 동의로 이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동의서 한 장'을 얻기 위해 지역 곳곳을 누비는 것도 마다하지 않고 있다.

"장기기증은 선순위 보호자 동의를 받아야만 해요. 포항에서 뇌사자가 발생했는데, 최종 동의권자가 거동이 불편한 분이셨어요. 2시간을 달려 영주까지 다녀왔죠. 동의서 하나를 받으려고 보호자가 복역 중인 교도소까지 간 적도 있습니다."

24일 대구 계명대학교 성서동산병원에서 김경수 장기 구득 코디네이터가 기증자 유족과 상담을 하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24일 대구 계명대학교 성서동산병원에서 김경수 장기 구득 코디네이터가 기증자 유족과 상담을 하고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경수 씨는 10년이 넘도록 코디네이터로서 일하면서 단 한번도 후회한 적이 없다. 장기기증이 생명을 잇는 나눔이라는 것을 넘어, 남겨진 가족에게도 위로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몸소 느껴왔기 때문이다.

"저희 기증원에서는 1년에 한 번씩 기증자 가족을 모시고 있어요. 유족분들이 '우리 아들 기증한 게 정말 큰 위로가 됐고, 그 힘으로 살아가고 있어요. 고마워요'라고 말씀하세요. 우리의 일이 기증자 가족을 진심으로 도울 수 있다는 데 자부심을 느끼게 됐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