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모두 취업자 수 줄어…내수 부진에 자영업 위축
올해 1분기 전국 도소매·숙박음식점업 취업자 수가 5개 분기 연속 줄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최장 감소 흐름을 보였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내수 부진과 소비 심리 위축이 고용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3일 통계청 고용동향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전국 도소매·숙박음식점업 취업자 수는 552만7천명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1만5천명 줄었다. 지난해 1분기(-5천명) 이후 5개 분기 연속 감소세다.
이는 코로나19 확산기인 2020년 1분기(-12만6천명)~2021년 4분기(-10만5천명) 이후 최장 기간 내림세다. 당시에는 방역 조치 등으로 고용이 위축됐는데 이번에는 내수 자체 체력 저하가 원인으로 풀이된다.
올해 1분기 대구 도소매·숙박음식점업 취업자 수도 22만5천명으로 1년 전(23만2천명)에 비해 7천명 줄었다. 경북은 올 1분기 22만명으로 같은 기간 2만3천명이 감소했다.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은 소비와 밀접한 서비스업이다. 경기 불안, 고물가, 누적된 이자 부담 등으로 소비가 위축되며 업종 전반의 매출 하락과 고용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은 온라인 소비와 무인화 매장 확산 등 중장기적 산업구조 변화 요인도 함께 작용해 단기간 반등이 쉽지 않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지난 1분기 도소매업 취업자가 6만1천명 줄었고, 숙박음식점업은 4만6천명 늘었다. 배달라이더가 주로 포진한 운수·창고업 취업자도 지난 1분기에 작년 동기보다 3천명 감소했다. 2023년 3분기(-1만3천명) 이후 6분기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내수 회복 지연으로 소상공인·자영업자도 위축되고 있다. 올해 1분기 자영업자 수는 552만3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만4천명 감소했다. 지난해 1분기(-9천명), 2분기(-10만1천명), 3분기(-2만6천명) 내리 줄다가 지난해 4분기 1만명 증가했지만 올해 들어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고용이 '경기 후행 지표'라는 점을 고려할 때 현재의 내수 부진이 반영되면 향후 더 나빠질 가능성이 크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월 경제전망에서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는 가운데 내수 회복도 완만한 수준에 그치면서 올해 취업자 수는 전년(16만명)보다 낮은 10만명 내외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은정, 315일 전 尹에게 받은 난 키워 '파면 축하 난'으로 선물
홍준표 대구시장 퇴임식 "시장직 내려놓지만, 든든한 후원자로서 역할하겠다" [영상]
사저 복귀한 尹 "임기 못 끝내 아쉽다…나라 위한 새로운 길 찾을 것"
한남동 떠나 서초동으로 간 尹 "나라·국민 위한 새로운 길 찾겠다"
추미애, 이낙연 저격 "예전 전두환 칭송…국힘과 연대 이상할것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