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년차 베테랑 산불 진화 조종사
"화재 현장 인근서 연료 보충 가능 대형 화재땐 군용 헬기 투입해야"
산불 진화에 투입된 임차 헬기가 잇따라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현재 진화 시스템과 인프라로는 사고 위험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 현직 조종사의 증언이 나왔다.
비행 경력 30년 이상의 한 대구경북 기초자치단체 임차 헬기 조종사 김재호(가명) 기장은 산불 진화 헬기만 11년간 조종해 온 베테랑이다.
그는 지자체 임차 헬기 비행 위험도가 유독 높다고 털어놨다. 임차 헬기의 경우 긴급헬기로 분류되지 않아 착륙지 제약이 크고 화재 현장 인근에 마련되는 연료차 이용도 어려워서라고 했다.
김 기장은 헬기가 일반적으로 연료를 가득 채울 경우 1시간 30분 정도 비행할 수 있는데, 진화 현장에서 착륙장까지 왕복하는 데만 1시간 가량이 소요되기도 해 예측이 어려운 산불 상황에서 연료 부족 문제가 크다고 했다. 김 기장에 따르면 군용이나 소방청 헬기는 임무 중 자유롭게 착륙할 수 있지만, 지자체 임차 헬기는 반드시 지정된 착륙장으로 돌아가야 한다.
김 기장은 "헬기는 항공청에 사전 인가받은 장소에만 착륙할 수 있다"며 "산불은 예측이 어렵고, 연료가 떨어지면 다시 지자체 착륙장으로 이동해야 한다. 연료 주입을 위해 50~60㎞를 날아야 하는 상황"이라며 "임차 헬기를 항공청이나 지자체에서 긴급헬기로 등록해 주면, 어디서든 인근 연료차를 이용해 연료를 보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자체 임차헬기의 경우 비행 도중 전화를 받아야 하는 상황도 적잖다는 점도 문제라고 했다.
김 기장은 "기관들이 상황 파악을 위해 비행 중인 조종사에게 전화를 거는데, 매우 위험하다"며 "국토교통부는 운행 중 전화 금지를 권고하지만, 실시간 보고를 해야 하는 지자체 입장에서는 조종사에 전화를 걸 수밖에 없는 구조다. 다른 방식으로 상황을 공유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산불 발생 시 연기로 시야가 차단되거나, 열기로 상승 기류가 생기며 산소 농도가 낮아지는 상황도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산소가 부족해지면 엔진 출력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추락 위험이 커진다는 것이다.
김 기장은 경북 북동부 산불과 같은 대형 화재에는 군용 헬기를 조기에 투입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지자체 임차 헬기의 담수량은 1천~2천ℓ 수준이지만, 군 기동헬기는 3천~1만ℓ까지 담을 수 있고, 전국 500여대로 헬기 수도 충분하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조종사들은 보통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하루 12시간씩 진화 작업에 투입된다. 작업이 5, 6일씩 이어질 경우 고령자가 많은 임차헬기 조종사들은 체력적으로도 버티기 어렵다"며 "조종은 대부분 계기판보다 몸의 감각에 의존해 이뤄지는 만큼, 신체 상태가 안전과 직결된다.대규모 산불에는 군 헬기를 초기부터 순환 투입해 조종사들의 피로도를 분산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정치 보복' 않겠다는 이재명…"제 인생에 보복한 적 없어"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김수현, 악플러들 고소했다…"앞으로도 법적 조치 할 것"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