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2024년 가맹사업 분석 현황' 9일 발표
2023년 말 기준 가맹점 평균 매출 3억5천만원… 전년대비 3.9%↑

2023년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전년대비 3.9% 늘어나면서 전체 소상공인과의 격차를 더 벌린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경영 여건이 악화하며 가맹 브랜드 수는 조사 시작 이래 처음으로 줄었고, 가맹점수 증가율도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해 말 등록된 정보공개서를 분석한 '2024년 가맹사업 분석 현황'을 9일 발표했다.
지난해 말 기준 가맹본부는 8천802개로, 전년대비 0.5% 증가했다. 2023년 말 기준 가맹점 수는 36만5천14개로 3.4% 증가했다.
직전 연도 증가율이 각각 7.0%·5.2%라는 점을 고려하면 확장세가 둔화했다고 볼 수 있다.
지난해 말 기준 가맹 브랜드 수는 1만2천377개로 전년보다 0.4% 줄었는데, 이는 공정위가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13년 이후 첫 감소다.
공정위는 "가맹사업의 외형상 둔화는 고물가·고금리에 따른 내수경기 회복 지연과 자영업 경영여건 악화한 것에 영향을 받았다"고 분석했다.
이어 "다만, 브랜드 수 감소는 가맹사업을 시작하려면 직영점을 반드시 개업해야 하는 제도(소위 1+1)가 시작되기 직전인 2021년 11월 이전에 이 의무를 피해 일단 등록하고 본 브랜드가 대거 등록을 취소한 영향도 나타난 것 같다"고 부연했다.
전체 브랜드 중 대규모 브랜드(가맹점 100개 이상) 비중은 4.0%, 중규모 브랜드(가맹점 10개~99개)의 비중은 23.3%, 소규모 브랜드(가맹점 10개 미만)의 비중은 72.7%였다.
2023년 말 기준 가맹점의 평균 매출액은 3억5천만원으로, 전년(3억4천만원) 대비 3.9%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중소벤처기업부 조사에 따르면, 2023년 소상공인 연간 평균 매출액은 전년(2억3천만원)보다 14.9% 감소한 2억원으로 나타났다.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전체 소상공인 평균의 1.75배 수준으로, 그 격차도 더욱 벌어졌다.
공정위는 "가맹산업이 영세 자영업자의 안정적 매출 확보 통로 역할을 비교적 잘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안 "탈당해야" 김·홍 "도리아냐"…국힘 잠룡들 尹心 경계 짙어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