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본경선룰 '당심·민심 5:5' 유지 무게?…'50% 당심'이 대세 가를까

입력 2025-04-08 17:33:45 수정 2025-04-08 20:58:10

당 선관위, 9일 회의서 경선 룰 논의 착수…후보별 유불리 명확

국민의힘 대선 경선을 관리할 선거관리위원장에 선임된 황우여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7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국민의힘 회의실로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대선 경선을 관리할 선거관리위원장에 선임된 황우여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7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국민의힘 회의실로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에 무려 15명 안팎의 잠룡이 난립하면서 경선 룰 조정 여부가 첫 관전 포인트로 떠올랐다. 약 한 달간 1명의 대선 후보를 선출해야 하는 만큼 현행 규칙이 그대로 적용될 가능성이 적잖은 것으로 전해진다. 경선 룰 경쟁이 과열될 경우 '1강 체제' 더불어민주당에 대항할 판이 깨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8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회는 9일 첫 회의를 열고 경선 룰 논의에 착수한다. 특히 당헌·당규에 명시된 '대통령 선거인단(당원) 유효투표결과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 조정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민심과 당심을 반영하는 경선 규칙에 따라 후보별 유·불리 지형이 극명하게 갈라서면서다.

경선 룰 조정에 따라 '탄핵 찬성파'와 '탄핵 반대파'의 명운이 엇갈리는 만큼 신경전이 격화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일반국민 여론조사 비중이 늘면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찬성파', 당원투표 비중이 늘면 '탄핵 반대파'에 유리하다는 분석 때문이다.

'탄핵 찬성파'인 유승민 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왜 이기는 길을 외면하고 지는 길로 가려합니까"라는 글을 올려 재차 완전국민경선을 촉구했다. 중도층에 강점을 보이는 안철수 의원도 민심 비중을 높이는 방향을 주장할 가능성이 높다. 기존 룰대로 경선이 진행되면 '탄핵 반대' 당심에 치우친 후보가 선출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초단기 대선인 만큼 '당심·민심 50%' 본경선 룰은 조정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예비경선 룰은 당 선관위 재량으로 정할 수 있어 변동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지난 대선 때는 1차 예비경선은 국민여론조사 80%, 당원투표 20%, 2차 예비경선은 국민여론조사 70%와 당원투표 30%였다.

경선 룰 변경 논의가 수면 위로 올라 후보 간 경쟁이 과열될 경우 '제 살 깎아먹기' 결과를 낳을 것이란 우려도 제기된다. 한 대선 후보 측은 "촉박한 상황에서 경선 룰을 손대자는 것은 판을 깨자는 얘기"며 "경선에 국민적 관심을 모으는 데 집중해야 한다. 자칫 정권을 빼앗기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지역 정치권에선 책임당원이 몰려있는 대구경북(TK) 유권자에 힘을 싣기 위해선 현재 당심 비중을 유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정치평론가 김철현 경일대 특임교수는 "당 선관위가 구성이 됐으므로 논의에 착수하겠지만 룰을 잘 바꾸지 않을 것"이라며 "2007년 이명박·박근혜 대선후보 경선 때처럼 2강 구도라면 강력히 문제 제기할 수 있겠지만 지금은 선두주자가 없어 경선으로 샅바 싸움을 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대신 본 경선에 가기 전에 후보가 많으면 1~2차 컷오프를 할 가능성은 있을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