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대통령 日 일정 마치고 워싱턴행…국익중심 실용외교 시험대 올라
대미 투자 규모 확정, 방위비 분담금 협의, 품목관세 조정 등 숙제 만만치 않아
조선업, 원자력산업 등 양국 협력 가능한 이슈 지렛대로 회담 성공 도모
정부,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돌발 요구에 대한 대응 고심
이재명 대통령이 대한민국 경제와 안보 분야의 10년 후 모습을 가를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미국행 비행기에 올랐다.
이 대통령이 강조한 '국익 중심 실용 외교'가 현 정부 출범 두 달여 만에 시험대에 오를 전망이다.
정치권에선 이번 한미 정상회담이 미국의 노골적인 중국 견제 분위기 속에서도 안미경중(安美經中·안보는 미국과, 경제는 중국과 협력하는 외교 전략) 기조를 고수하고 있는 현 정부의 외교 전략에 중대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대통령은 24일 오후 한미 정상회담 모의고사 성격의 한일 정상회담을 마무리하고 도쿄에서 미국 워싱턴DC로 출발했다.
이 대통령은 25일(미국 동부 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는다. 이 대통령 취임 82일 만이다.
두 정상은 지난달 말 타결된 관세 협상의 세부 협의를 비롯한 후속 조치를 논의하고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과 방위비 분담금 조정 등 안보 현안에 대해서도 폭넓은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우리 정부는 주한미군 대북 억지력을 유지하면서 방위비 분담금의 인상폭을 줄이고 철강과 반도체 등 우리 기업의 미국 수출 제품에 대한 추가적인 품목 관세 인상 등의 조치를 차단하기 위해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조선업과 원자력발전 산업 등 미국 입장에서 양국의 협력이 필요한 이슈를 중심으로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만들어 가면서 회담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기 위한 실마리를 찾으려 한다"며 "미국의 중국 견제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한미일 공조도 우리 측의 부담을 줄여주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그동안 진행된 각국 정상들과의 회담에서 돌발 요구로 상대를 당황시키면서 자신의 요구를 관철한 상황에 대한 대비에 총력을 쏟고 있다.
정부는 한미 정상회담에 앞서 한일 정상회담을 가진 보람이 있다는 반응이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24일 한일 정상회담 후 기자들을 만나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미일 정상회담에 대한) 경험이나 그동안 느낀 점을 우리에게 도움말 형태로 얘기한 소인수회담이 유용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그동안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안보와 경제적 이익을 동시에 챙기고자 했던 현 정부의 외교 기조에 대한 미국의 이해를 구하는 일도 중요한 과제가 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물론 미국 조야(朝野)에서 중국에 대한 견제 필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조국 또 '2030 극우화' 주장…"남성 일부 불만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