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탑 리더스 아카데미]
'글로벌 불확실성과 新AI디지털 전략: 위기의 대구경북 경제, 어디로 가야 하나?' 주제로 강연
2025 CES 직접 참여…2025년은 글로벌 불확실성↑·글로벌 산업동향은 'AI'
지난 7일 오후 대구 그랜드호텔에서 열린 매일 탑 리더스 아카데미에서 강성주 전 우정사업본부장이 '글로벌 불확실성과 新AI디지털 전략: 위기의 대구경북 경제, 어디로 가야 하나?'를 주제로 매탑 두 번째 강연에 나섰다.
경북 의성에서 태어난 강 전 본부장은 현재 세종대 초빙교수와 스마트제조연구조합 이사장, 이노베이션포럼 회장을 맡고 있다. 이전에는 우정사업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이날 강연에서 그는 2025년은 글로벌 불확실성이 가장 핵심 이슈일 것이라고 진단한 강 전 본부장은 사업에 가장 큰 변수가 바로 AI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지난 1월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2025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에 직접 참여한 경험을 이야기했다.
그는 "올해 CES의 가장 두드러진 모습은 인공지능(AI)이 모든 산업의 중심이 됐다"고 언급했다. 강 전 본부장은 "모빌리티, 헬스케어,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 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많은 기술 중에서도 각 국가와 기업들이 AI를 어떻게 발전시켰는지 소개한 그는 "다양한 기술력 속에서 AI시대가 본격 개막했음을 느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글로벌 동향으로 '스타트업 전성시대'으로 꼽은 그는 CES 유레카 파크의 모습을 보여줬다. "전 세계의 벤처, 스타트업 기업들이 몰려있는 곳"이라고 말한 그는 "벤처, 스타트업들도 AI, IT 기술을 주력 기술로 앞세운 회사들이 많았다"고 전했다.

강 전 본부장은 '중국의 재등장'도 글로벌 동향으로 꼽았다. 그는 "AI 시대를 타고 중국이 다시금 급부상하고 있다"며 "민감한 시기임에도 미국 다음으로 많은 수의 중국 기업들이 참여해 글로벌 생산기지 역할을 입증했다"고 언급했다.
농업 분야에서도 AI와 로봇기술이 대대적 혁신을 일으키고 있다고 말한 강 전 본부장은 "GPS와 라이다 센서를 사용해 자동으로 밭을 갈 수 있는 기술을 가진 미국의 한 회사도 있고, 사막과 같은 환경에서도 상추를 키울 수 있도록 하는 스위스의 회사도 있다"고 했다.
이처럼 세계적으로 AI 기술 각축전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을 목격한 그는 "인프라와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며 국가적 역량을 총동원해야 글로벌 시대에 제대로 대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정치 보복' 않겠다는 이재명…"제 인생에 보복한 적 없어"
한동훈, '한덕수 추대론'에 견제구…"출마 부추기는 건 해당 행위"
국민의힘 "주 4.5일 근무 대선 공약 반영하겠다"
김수현, 악플러들 고소했다…"앞으로도 법적 조치 할 것"
이준석 "대구경북서도 호랑이 될 만한 사람 키워야…尹에게 누가 직언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