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귀한 의대생들, 이번에는 수업거부로 투쟁하나

입력 2025-04-02 16:36:15 수정 2025-04-02 21:56:12

의대협 학교별 자체조사결과 "전원복귀 후 수강률 3.9%"
수업거부로 투쟁"…"법적 자문 등 여러방법 지원"
정부, 집단 수업거부시 '복귀' 미인정…내년 의대 모집인원 5천58명 가능성

1일 대전 서구 건양대 의과대학에서 한 학생이 수업을 들으러 가고 있다. 연합뉴스
1일 대전 서구 건양대 의과대학에서 한 학생이 수업을 들으러 가고 있다. 연합뉴스

전국 의대생들이 복학은 했지만 실제 수업 참여율이 저조해 '수업 거부'로 투쟁방향을 선회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전국 의대생 복귀율은 97%에 달하지만 실제 수업 참여율은 3%대에 불과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2일 보도자료를 통해 "회원들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15개 의대 재학생 6천571명 중 실제 수업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 예정인 학생은 3.87%(254명)에 그쳤다"고 밝혔다.

의대협의 이번 자료는 학교별 자체 조사를 통해 전국 40개 의대 중 15개 의대의 수업 참여율(수강률)을 먼저 취합한 결과다. 15개 의대 재학생 80∼90%가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협은 "각 의대 대의원(학생회장)과 긴밀하게 논의한 결과 앞으로의 방향성을 '투쟁'으로 결정했다"고도 공지했다.

이선우 의대협 비대위원장은 "협회의 방향성이 '투쟁'으로 수렴됐음을 알린다"며 "각 학교에서는 대의원의 안내를 잘 따라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또 "협회는 각 학교 대의원과 지속적으로 긴밀히 논의하고 있다. 법적 자문을 비롯한 여러 방법을 지원하고 있다"며 "전원 복귀라는 기사가 많았지만, 결국 어디에도 학생이 가득 찬 교실 사진은 보이지 않는다. 의미 있고 조속한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의대협은 미등록 투쟁을 고수해오다가 지난달 21일 연세대를 시작으로 의대생들의 대규모 복귀가 이어지자 지난달 31일 "교육부와 그에 굴종한 학교로부터 끝까지 적법한 휴학원을 지켜내지 못한 것에 크나큰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사실상 단일대오를 유지하기 어려워진 상황을 인정했다.

미등록 제적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피하기 위해 일단 복귀를 결정했지만, 이날 공지는 집단 수업거부로 투쟁을 이어가겠다는 뜻을 표명한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일부 의대에선 학생들이 복귀 후 휴학계를 제출하거나 재휴학 상담 등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협을 중심으로 의대생들의 투쟁 '2라운드'가 시작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교육부는 단순히 등록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정상적으로 수업에 참여해 학점을 이수하는 것까지를 복귀로 본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이달 중순까지 수업 상황을 지켜본 뒤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결정할 방침이다. 다수 학생이 수업에 제대로 참여하지 않을 경우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은 기존 정원인 5천58명으로 한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