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영일만항 '북극항로 컨트롤타워' 구축 시동

입력 2025-04-02 16:10:41 수정 2025-04-02 20:19:43

포항시 '해운정보센터' 연구용역…운송로 안내 역할, 6월 결과 발표
지난해 11월 국회 '북극항로 거점항만 포럼' 후속 행보

지난해 11월 국회에서 열린 북극항로 거점항만 포럼에서 발제자와 토론자가 북극항로를 통한 포항 영일만항 등 국내 항만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토론하고 있다. 포항시 제공.
지난해 11월 국회에서 열린 북극항로 거점항만 포럼에서 발제자와 토론자가 북극항로를 통한 포항 영일만항 등 국내 항만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토론하고 있다. 포항시 제공.

경북 포항시가 북극항로 시대의 중심축 역할을 할 컨트롤타워를 환동해 전초기지 영일만항에 구축하기 위해 시동을 걸었다.

포항시는 2일 '북극 해운정보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 연구용역'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용역비(시비)는 지난달 11일 포항시의회 연구용역 심의를 거쳐 2천200만원이 확보된 상태로, 늦어도 이달 안에 전문 용역기관에 연구를 의뢰할 계획이다.

용역기관은 ▷북극 해운정보센터 구축 및 운영 방안 연구 ▷실시간 데이터 제공 및 예측 시스템 구축 방안 ▷국내·외 연구 협력 및 산업 연계 조사 등을 수행하게 된다.

이번 용역은 지난해 11월 국회에서 김정재·정희용 국민의힘 국회의원, 이강덕 포항시장 등 주최로 열린 '북극항로 거점항만 포럼'의 첫 번째 후속 행보로 볼 수 있다.

당시 전문가들은 본격적인 북극항로 시대에 대비해 위성 및 AI 등을 활용한 ▷기상·해빙 관측 ▷예측정보 ▷안전운항 등을 총괄 지원하는 국가적 차원의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으며, 대안으로 나온 것이 북극 해운정보센터이다.

센터는 북극 빙하가 시기별로 녹아 생기는 북방항로 찾아낼 뿐만 아니라 기존의 남방항로의 환경·지정학적 상황도 분석해 국내 해양 운송 업체에 빠르고 안전하며 경제적인 운송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포항시는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영일만항에 센터가 들어서야 할 당위성을 마련하고 정부에 지원을 요청할 방침이다.

용역 결과는 오는 6월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손정호 포항시 해양수산국장은 "'미국 트럼프 2.0 시대'에서 북극항로가 급부상하고 있다. 이런 시기에 북극항로 개척과 선제적 대응을 위한 국가 컨트롤 타워가 시급하다"며 "영일만항을 끼고 있는 포항은 포스텍·한동대 등 연구 인프라도 갖추고 있고, 지정학적으로도 북극 해운정보센터가 들어서기에 최적의 항만"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용역으로 정부와 지자체의 북극항로 관련 정책 방향성, 포항시가 주도할 수 있는 실질적 정책 제안이 정리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영일만항을 북극항로 거점항만으로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개발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