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행안부, '경북합동지원센터' 운영해 수습·지원 강화
안동·영양 등 피해지역, 피해 접수·통합지원센터 창구 운영
경북도, 31일 1차 '산불 피해기업 원스톱 지원센터' 운영
경북 북동부 지역을 폐허로 만든 대형 산불 진화가 완료되면서 본격적인 산불 피해지 수습과 피해자 지원에 나선다.
지자체마다 피해자 접수 창구를 마련해 산불 피해조사와 등록 작업에 나서고, 행정안전부와 경북도 등도 이재민들의 심리 구호와 금융 구호 서비스 지원에 돌입했다.
행정안전부는 안동 실내체육관에 '경북 산불피해 합동지원센터'를 설치하고, 안동시와 행정안전부 등 50여 명의 인력을 배치해 산불로 큰 피해를 입은 안동시, 의성군,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에 대한 종합 지원에 나서고 있다.
합동지원센터에서는 대피자 지원, 의료·심리지원, 임시주거시설 및 구호물자 지원, 통신·전력·가스 긴급 복구, 법률 및 금융·보험상담 등 산불 복구를 위한 전반적인 지원 업무를 맡고 있다.
경북도와 안동시는 대규모 산불 피해를 입은 남후농공단지 입주 기업을 대상으로 3월 31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남후농공단지 산불 피해 대책위원회 임시사무실에서 1차 '산불 피해기업 원스톱 지원센터'를 운영했다.
이날 지원센터 운영은 갑작스러운 산불로 인해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업주 및 근로자에게 맞춤형 컨설팅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산불 피해로 인한 경영 애로 사항 지원 및 고용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사업 안내와 상담으로 이어졌다.
특히, 안동시는 3월 30일부터 산불피해가 극심한 6개 면지역에서 6급 이상 공무원 170여명을 투입, '산불 피해지역 피해 신청 접수 지원 센터'를 설치·운영해 본격적인 피해 접수에 나섰다.
의성군은 주민들의 인적·물적 피해 회복을 지원하고자 특별 교부금과 예비비 등 175억원을 긴급 편성하고, 피해 규모를 조사와 즉시 응급 복구에 나설 수 있도록 각 읍·면장과 부서장으로 구성된 복구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피해 지원에는 ▷이재민을 위한 임시주거시설 확보 및 운영 ▷일시 대피자를 위한 마을 인근 숙박형 시설 제공 ▷긴급 구호 추진 등이 포함된다.
의성군은 집을 잃은 주민들이 거주할 임시주거시설을 갖추기 전까지 농촌체험마을의 숙박시설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임시주거시설은 모듈러 주택 등 편의성을 높인 주택으로 마련할 방침이다.
영양군도 3월 31일부터 석보면사무소에 산불로 피해를 입은 주민들을 돕기 위한 '산불 재난 피해자 통합지원센터'를 본격 운영한다.
산불 재난 피해자 통합지원센터는 단순 피해 접수뿐 아니라 이재민 구호, 의료 지원, 심리치료, 장례 등 '심리·구호 상담'과 통신 장애, 가스공급 차질, 산불폐기물 처리, 농기계 수리 등 '응급복구 지원 상담', 복구자금 융자, 보험 및 대출 등 '금융 지원 상담'까지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댓글 많은 뉴스
박찬대 "한덕수, 4월 1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 하면 중대 결심"
홍준표, '개헌' 시사 "내가 꿈꾸는 대한민국은 제7공화국, 탄핵정국 끝나면 국가 대개조 나서야"
尹 선고 지연에 다급해진 거야…위헌적 입법으로 헌재 압박
'위헌소지' 헌법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위 소위 통과…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되나(종합)
순대 6개에 2만5000원?…제주 벚꽃 축제 '바가지'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