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 간 한국도로교통공단이 교통사고 잦은 곳에 대한 개선사업을 실시한 결과 사망자 수는 59.5%, 사고 건수는 3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사고 잦은 곳'이란 인명피해 교통사고가 1년 간 일정 기준 이상 발생한 지점을 말한다.
한국도로교통공단은 지난 2022년 지자체 등 도로관리기관과 함께 전국 241개 개선사업 대상지의 개선 전 3년 평균(2019~2021년)과 개선 후 1년 간(2023년) 교통사고 현황을 비교·분석한 결과, 이같은 결과를 보였다고 25일 밝혔다.
개선사업 이전 3년 간 연평균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24.7명이었으나, 개선사업 후인 2023년에는 10명으로 59.5% 감소했다. 교통사고건수도 2천469건에서 1천699건으로 31.2% 감소했다.
공단이 교통사고 잦은 곳에 대해 수립한 주요 개선대책으로는 ▷교차로 전방 신호기 설치 ▷미끄럼방지포장 ▷신호·과속단속장비 설치 ▷노면색깔유도선 설치 등이다.
특히 울산시 북구 경제진흥원 삼거리의 개선사례의 경우 정지선 주변에 미끄럼방지포장으로 노면 마찰력을 높이고, 교통섬과 고원식횡단보도 설치로 우회전 효율 및 보행자 편의를 향상시켰다.
해당 지점의 개선사업 전후 교통사고건수는 11.3건에서 6건으로 47% 감소했다. 공단은 행정안전부, 지자체 등과 함께 교통사고 피해를 줄이기 위해 1988년부터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을 매년 추진해오고 있으며 지난해까지 전국 1만6천944곳을 개선했다.
오윤성 한국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종합분석센터장은 "교통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곳에 대해서는 철저한 원인 분석 후 맞춤형 개선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을 지속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개헌' 시사 "내가 꿈꾸는 대한민국은 제7공화국, 탄핵정국 끝나면 국가 대개조 나서야"
尹 선고 지연에 다급해진 거야…위헌적 입법으로 헌재 압박
'위헌소지' 헌법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위 소위 통과…문형배·이미선 임기 연장되나(종합)
순대 6개에 2만5000원?…제주 벚꽃 축제 '바가지' 논란
직무 복귀 vs 조기 대선…4월 4일은 尹대통령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