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 "사찰 복원도 지원해줘야" 호소
"절만 탄 게 아닙니다. 우리 기억과 위로의 터전이 함께 사라졌어요."
24일 경북 의성군 안평면. 산불이 휩쓸고 간 마을, 그 속에서 신라 천년 고찰 '운람사'는 더 이상 옛 모습을 찾아볼 수 없었다. 연기 자욱한 산허리, 무너진 기왓장과 탄 흔적만이 그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운람사는 오랜 세월 지역 불자들의 신앙의 중심이자, 공동체의 쉼터였다. 그러나 이번 화마 앞에 법당과 요사채 등 5동은 속수무책이었다. 문화재로 지정된 보물 일부는 다행히도 긴급 대피 조치로 간신히 화마를 피했지만, 사찰은 더 이상 '절'이 아니었다.
"명절이면 절밥 나눠 먹고, 불전에서 기도 올리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한데… 이제 그 자리에 그을린 잔해만 남았어요."
이날 현장에서 만난 신도 윤모(55)씨는 말을 잇지 못했다.
또 다른 신도 김모(68) 씨는 "절이 아니라, 마음의 기둥이 무너진 것"이라며 "거기서 울고 웃으며 살아왔다"고 말하며 흐느꼈다.
이번 화재로 불자들은 문화재 보존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입을 모았다.
지정 문화재는 소실 시 복원에 대한 지원이 있지만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사찰은 훼손되더라도 별다른 지원의 손길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에 주민들은 원형 복원과 더불어 공동체 정신 회복을 위한 실질적 지원이 절실하다는 호소했다.
운람사 한 관계자는 "부처님을 지키지 못한 것 같아 억장이 무너진다"며 "우리 절은 단순한 공간이 아니라 사람들의 정서가 모이고 치유받던 삶의 일부였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