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 AI화' 발언 언론 지적에 "정략보다 나라 미래가 더 중요" 반박
민주 "AI 투자 하자는데 與 아무말대잔치…사회주의가 왜 나오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자신의 '한국판 엔비디아 지분 소유 구조' 발언에 대해 여권에서 잇따라 문제를 제기하자 '극우 본색에 문맹 수준의 식견'이라고 반박했다.
이 대표는 4일 SNS를 통해 "AI(인공지능)가 불러올 미래에 대한 무지도 문제지만, 한국말도 제대로 이해 못 하니 그런 수준의 지적 능력으로 어떻게 대한민국을 책임지나"라며 여권을 맹비난했다.
이 대표는 또 '대만 반도체 기업인 TSMC는 정부 출자 지분이 48%'라는 내용의 게시글도 공유하면서 "국민의힘도 한번 생각해 보시길"이라고 꼬집었다.
앞서 이 대표는 지난 2일 공개된 AI 관련 대담 영상에서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AI 관련 기업에 국부펀드나 국민 펀드가 공동 투자해 지분을 확보할 경우 그 기업이 엔비디아처럼 크게 성공하면 국민의 조세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는 의견을 밝힌 바 있다.
이를 두고 국민의힘은 기본사회를 내세워 기업의 성과를 국가가 관리하려는 발상은 사회주의적 접근이라며 옛 소련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고 맹비난했다.
유승민 전 의원도 SNS를 통해 "감세를 넘어서 말도 안 되는 전 국민 면세 방안으로, 기본소득보다 더 황당한 공상 소설 같은 얘기"라고 비꼬았다.
야권은 여권의 비판이 쏟아지자 AI투자를 논하는데 이를 왜곡하고 이 대표에 대해 비판만 한다고 반박했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AI 골든타임을 허비하며 투자 제안을 헐뜯고 왜곡하는 국민의힘, 이러고도 여당인가"라며 "투자하자는 얘기를 하는데 '사회주의'가 난데없이 왜 나오나. 아무 말 대잔치가 따로 없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또 이날 한 언론이 '국방을 AI화 해야 한다'고 한 자신의 발언을 포퓰리즘이라고 비판한 것을 거론하면서 "정략보다 나라의 미래가 더 중요하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그는 "드론이 이미 우크라이나 공중 전장을 누비고, 조만간 무인 전투로봇이 대세가 될 것이다. 대한민국 방위산업을 여기에 맞춰 발전시켜야 한다"며 "병사들도 의무로 병영에서 청춘을 보내며 견디는 게 아니라 첨단 과학기술 전문 직업군으로 변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험지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을…온갖 모함 당해"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
[정진호의 每日來日] 한 민족주의와 두 국가주의, 트럼프 2기의 협상카드는?
이재명 "공평한 선거운동 보장", 조희대 탄핵 검토는 "당 판단 존중"
국민의힘, 단일화 추진 기구 구성…"한덕수 측과 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