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홀 활용 역추적·사업장 점검에도 원인 파악 실패
서구청 "폐수 고의 방류 가능성은 낮아"
관계당국 모여 합동점검반 구성…"의심 사업장 정밀조사"
전문가 "촬영장비 투입해 하수관거 상태 전반 점검해야"
대구 서구 염색산단 내 하수관로에서 폐수 유출이 반복(매일신문 1월 16일 등)되는 가운데 서구청 등 관계당국이 출처 파악에 난항을 겪고 있다. 24일 발생한 두 번째 폐수 유출에도 지난 사례와 같은 조사방식을 사용, 끝내 추적에 실패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리당국이 실효성이 떨어지는 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서구청을 비롯한 관계당국은 지난달 8일 첫 폐수 유출 이후 출처 파악에 나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서구청은 첫 폐수 유출 이후 경로 역추적을 위해 맨홀 뚜껑을 열고 내부 하수의 색과 산성도(㏗) 등을 확인했지만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 24일 두 번째 유출에도 같은 방식으로 조사했지만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서구청 관계자는 "하수관로 대부분이 땅 속에 묻혀있으니 전체를 확인할 수 없다"며 "그냥 포기할 수는 없으니 곳곳에 있는 맨홀이라도 활용해 추적을 시도했다"고 설명했다.
24일 폐수 유출 이후 서구청은 대구환경청과 함께 붉은 염료를 사용한 염색산단 업체 점검에 나섰다. 점검 결과 출처로 의심되는 사업장을 13곳으로 추렸지만 업체들이 사용하는 염료가 대부분 비슷한 탓에, 폐수 유출 지점 특정에는 실패했다. 이날 오후 염색산단 자체 공동폐수처리 시설로 붉은 폐수를 배출한 업체도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폐수 유출의 고의성을 확신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염색산단 사업체들은 상수도 계량기에 명시된 공업용수 사용량을 기준으로 폐수 처리 비용을 지불하고 있어 폐수 무단방류를 통해 업체가 얻는 실익이 모호하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관계당국의 조사방식이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확한 폐수 유출 경위 파악을 위해서는 하수관로의 정확한 상태 진단이 우선돼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전관수 영남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경위 파악에 실패한 상황이라면, 유출 경로로 의심되는 하수관거에 촬영장비를 투입하는 등 내부 상태 파악에 나서는 방법도 있다"며 "그 과정에서 하수관 노후화나 파손 여부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추후 폐수 유출을 예방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구시는 서구청과 대구환경청을 포함한 합동점검반을 꾸려 추가 조사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합동점검반 반장은 성웅경 서구 부구청장이 맡는다.
합동점검반은 폐수 출처로 의심되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작업일지 확보 ▷작업공정 ▷폐수이송경로 및 우수 배관확인 등 정밀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서구청 관계자는 "성 부구청장의 주도로 합동점검반이 구성된 만큼, 구청도 원인 파악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주민들이 안심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조기 대선 시 시장직 사퇴…내가 집권하면 TK현안 모두 해결"
[단독] 국가보안법 전과자, 국회에 몇 명이나 있을까?
"강성 발언보다는 국민 통합 위한 메시지 내달라"…여권, 尹 최종 변론 의견 표출
김병주, '尹 참수' 모형칼 들고 활짝…논란되자 "인지 못했다" 해명
공수처 '영장쇼핑' 정황 확인, 탄핵심판 '독수독과'로 흐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