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문의 최종 합격자 509명…지난해의 19%에 그쳐

입력 2025-02-24 14:30:07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전국 의료계에서 새로 공급되는 전문의 숫자가 509명에 그쳤다. 지난해의 5분의 1도 안 되는 수준이다.

24일 의료계 등에 따르면 제68차 전문의자격 시험 2차 시험에는 총 522명이 응시해 13명(결시자 2명 포함)을 제외한 509명이 최종 합격했다. 합격률은 97.5%다.

앞서 이달 14일 치러진 전문의 1차 시험에서는 응시자 534명 가운데 500명(합격률 93.6%)이 합격했다. 여기에 지난해 1차 시험에 합격 후 최종 탈락한 22명도 올해 2차 시험에 응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 이 숫자는 지난해 합격자 수(2천727명)의 18.7%에 그치는 숫자다.

이는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수련을 중도에 멈춰 응시자가 급격히 줄어든 탓이다.

전문의 시험을 치르려면 인턴 1년, 레지던트 3∼4년 등의 수련을 거친 후 응시해야 하는데, 이달 20일 현재 수련병원 211곳의 전공의 출근율은 8.7%에 그치는 등 시험을 볼 수 있는 사람 수 자체가 줄어든 상황이다.

한편, 2차 시험에서는 외과(18명), 소아청소년과(24명), 산부인과(13명), 신경외과(14명), 응급의학과(28명) 등에서 2차 시험 합격률 100%를 기록했다.

올해 최종 합격자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내과(87명)에서 가장 많이 나왔다. 심장혈관흉부외과(6명), 재활의학과(9명), 피부과(7명) 등에서는 한자릿수의 전문의를 배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