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신차 4대 중 1대는 '하이브리드'

입력 2025-02-16 15:32:42 수정 2025-02-16 17:55:44

서울 서초구의 한 도로 위를 지나는 하이브리드 차량 모습. 연합뉴스
서울 서초구의 한 도로 위를 지나는 하이브리드 차량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국내에서 국산 하이브리드차(HEV) 판매 비중이 전체의 20%를 돌파했다. 뛰어난 연비와 저탄소 차량인 하이브리드차 인기는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점쳐지며 신차 열풍까지 더해지면 판매 비중이 30% 벽을 뛰어넘을 것이란 예측도 나온다.

16일 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해 국산차 5사(현대차·기아·한국GM·르노코리아·KG모빌리티)의 국내 판매 대수는 136만4천750대이다.

이 가운데 하이브리드차는 26.5%로 36만1천151대로 집계됐다. 사상 첫 판매 비중 20%를 돌파한 하이브리드차는 최근 5년간 지속 성장하며 4배 이상의 성장률을 보였다.

지난 2020년 판매 비중이 7.9%에 불과했지만 2021년 10.4%, 2022년 13.2%, 2023년 19.5%로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시작한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으로 수혜를 얻으며 1년 만에 7.0%포인트(p) 상승했다.

지난해 국산차 5사 하이브리드차 내수 판매량은 36만1천151대이다. 전년에 28만4천923대를 판매한 규모와 비교해 26.8% 증가했다.

하이브리드차 선호 기조는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새해 들어 정부가 하이브리드차 세제 혜택을 상당수 축소했으나, 하이브리드차 취득세 감면 폭이 줄어들 때도 오히려 비중은 늘었기 때문이다.

특히 신차가 수요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해 9월 출시한 르노코리아의 중형 SUV 그랑 콜레오스 하이브리드 모델은 출시 4개월 만에 2만2천여대가 팔렸다. 또 국내 판매하는 대형 SUV 팰리세이드가 올해 상반기 처음으로 하이브리드 모델을 내놓고, 하반기에는 기아의 소형 SUV 셀토스도 하이브리드 모델을 공개한다.

업계 관계자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연비, 혜택 등 강점에다 최근 출시하거나 출시를 앞둔 차량의 신차 효과까지 감안하면 국산차의 하이브리드 내수 판매 비중이 30%까지 늘 수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