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 전 차장, 공관 앞에서 메모 썼다 했지만 사실 아냐…메모도 총 4종류 "
尹 "대통령인 내자 국정원 1차장에게 전화할 이유 없다"
13일 탄핵심판 8차 변론에서 12·3 비상계엄 사태 '키맨'으로 꼽히는 홍장원 국가정보원 전 1차장의 증언이 신빙성 논란에 부닥쳤다. 홍 전 차장은 사태 당시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싹 다 잡아들이라'는 정치인 체포 지시를 받았다고 진술해 사실상 탄핵소추 방아쇠를 잡아당긴 인물이다. 향후 형사법정에서 내란죄 성립 여부를 가를 핵심 증언이 뒤흔들리면서 재판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홍 전 차장, 공관 앞에서 메모 썼다 했지만 사실 아냐"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은 이날 탄핵심판 8차 변론에 출석해 홍 전 차장의 '체포 명단 메모 작성' 증언과 관련 사실관계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는 증언을 이어나갔다.
조 원장은 "홍 전 차장이 공관 앞에서 메모를 썼다는 말을 지난주 헌재 증언에서 처음으로 들어 사실 파악을 해봤더니 사실관계가 달랐다"며 "(홍 전 차장이) 국정원장 공관 앞에서 메모를 썼다고 했지만 그는 당시 국정원 청사 사무실에 있었다"고 증언했다.
이는 '체포 명단'이 있었다며 비상계엄 사태 당일 전후 상황을 설명한 홍 전 차장의 증언과 배치되는 진술이다. 홍 전 차장은 지난 4일 5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계엄 당일 오후 11시 6분쯤 국정원장 공관 앞 어두운 공터에서 주머니에서 메모지를 꺼내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불러주는 명단을 갑자기 적게 됐다'고 증언한 바 있다.
체포 명단 메모 내용 자체의 신빙성도 도마에 올랐다. 총 네 종류의 체포 명단 메모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내용이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 것이다. 조 원장은 "홍 전 차장이 자신이 쓴 메모를 보좌관에게 줘 정서(淨書·정리해서 다시 씀)시켰다고 하니 2개가 있는 셈인데, 담당 보좌관이 홍 전 차장에게 정서한 메모를 전달했고 12월 4일 늦은 오후에 홍 전 차장이 다시 한번 기억나는 대로 메모를 작성해 달라고 했다고 한다"고 진술했다.
이어 "이에 보좌관이 갖고 있는 게 없어서 기억을 더듬어 썼고 이것이 세 번째 메모"라며 "해당 보좌관은 파란색 펜으로 사람 이름만 썼고 동그라미를 치거나 '방첩사'라는 문구 등 가필은 본인이 하지 않았다고 한다"고 주장했다.
조 원장은 "12월 4일 오후에 보좌관이 기억을 더듬어 쓴 메모에 가필을 한 버전이 네 번째 메모"라며 "그렇게 되면 홍 전 차장이 설명한 뼈대가 사실과 다른 것"이라고 강조했다.
◆"홍 전 차장, 지난해 정보위서 野에 7차례 인사 청탁"
조 원장은 이날 변론에서 홍 전 차장의 정치적 중립성 또한 문제 삼았다. 조 원장은 지난해 여름쯤 홍 전 차장이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야권 인사에게 수차례 인사 청탁을 했다는 말을 전해들었다며 그가 이미 야권 친화적인 면모를 보였다는 취지의 진술을 했다.
조 원장은 "정보위에서 지난 정부 국정원에 계셨던 어느 야당 의원이 홍 전 차장을 지목하며 '내가 국정원에 있을 때 유력 사람을 통해서 7차례 인사 청탁을 하지 않았냐'고 말했다"고 했다.
윤 대통령 측 김계리 변호사가 "국정원에 있었던 야당 의원이라면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나 박선원 의원이냐"고 묻자 "네"라고 답했다. 이에 김 변호사가 "홍 전 차장이 박지원 또는 박선원 의원에게 인사 청탁을 7차례 했다는 취지냐"고 묻자 조 원장은 "그렇게 야당 의원이 발언했다"고 했다.
조 원장은 "이런 것들을 보면서 홍 전 차장의 정치 중립과 관련해 어떻게 생각해야 할지 조금씩 머릿속에서 생각하게 됐다"며 "정보위 회의 중 있었던 이야기니 속기록이 남아 있을 것"이라고 했다.
다만 이 같은 진술에 박선원 의원은 "새빨간 거짓말"이라며 부인했다. 박지원 의원도 "잠자는 호랑이 꼬리를 밟지 말라"며 반박했다.
◆尹 "대통령인 내자 국정원 1차장에게 전화할 이유 없다"
홍 전 차장이 '이번 기회에 싹 다 잡아들리라'고 증언한 것도 사실이 아니라는 주장도 이날 변론에서 재차 나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조 원장의 증인신문 관련 의견 진술을 통해 "대통령인 제가 국정원 1차장인 홍장원에게 전화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고 거듭 부인했다.
앞서 홍 전 차장은 계엄 당시 윤 대통령이 자신에게 전화해 '싹 다 잡아들여'라고 지시했다며 "(윤 대통령의 지시를) 말뜻 그대로 이해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 홍 전 차장 증인신문과 오늘 증인신문을 보면 대통령인 제가 홍 전 차장에게 전화할 이유가 하나도 없는데 원장이 국내에 있나 해외 출장 중인지에 대한 오해가 전화로 부득이하게 돼서 이렇게 시끄러워진 것 같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국무회의에 국정원장이 참석해야 하는데, 원장이 미국에 출장 중이라고 착각해 홍 전 차장에게 전화를 건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비상계엄 선포 국무회의에 조태용 원장이 참석한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며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홍 전 차장에게 오후 11시쯤 다시 전화를 걸어 '원장이 (한국에) 있다는 말을 왜 안 했냐'고 묻고 '방첩사령관과 육사 선후배니까 선후배 차원에서 지원을 좀 잘 해달라'고 했다고 전했다. 이 통화와 관련해 윤 대통령은 지난 변론에서 "계엄 사무가 아닌 간첩 검거와 관련해 방첩사를 도와주라는 얘기를 한 것"이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정진호의 매일내일(每日來日)] 푸른 뱀의 계절, 의(義)와 불의(不義)가 충돌하다
탄핵 반대 집회 의식한 광주 시민단체 "내란 준동 제압 위해 모여달라" 호소
김종인 "한동훈, 가장 확장성 있는 후보…국힘, 극우 집회 참여 옳지 않아"
배현진 "문형배, 불법 음란물 2천건 유통 현장 방관…사실 밝혀라"
현직 검사장, 문형배 직격…"일제 치하 재판관보다 못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