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외교전 요구+자구책 총력전
美·中 우회수출도 차단 예고…K철강·2차전지 타격 불가피
李지사, 포항 찾아 해법 모색…구미시 "시장 다변화로 극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 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 관세 부과에 관한 포고문에 서명한 후 이를 들어 보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관세에](https://www.imaeil.com/photos/2025/02/11/2025021116362482615_l.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으로 한국 산업계에 비상등이 켜진 가운데 경북도와 포항시, 구미시가 정부의 외교적 대응을 요구하면서도 각자도생을 위한 해법 찾기에 일제히 뛰어들고 있다. 3면
대구경북 지역 산업계 곳곳에서 심각한 우려가 확산하자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포항지역 철강·2차전지 기업 대표들과 범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호소하고, 구미시는 자구책 찾기에 나섰다.
12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0일(현지시간) 서명한 철강·알루미늄 관세 포고령에 철강의 북미 원산지 규정을 강화한다는 계획이 담겼다. 현재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으로 하나의 경제권에 묶인 국가를 통해 들여오는 중국산 철강 제품을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작년 중국에서 한국으로 수입된 철강재는 877만 톤(t)으로 2017년(1천153만t) 이후 7년 만에 최대 수준이다. 관세 장벽으로 중국이 수출하지 못한 생산·재고 물량을 한국 등 국제시장에 쏟아낼 경우 중국산 밀어내기식 덤핑 공세가 더욱 가속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 통상 당국자는 "중국에서 생산한 쇠를 멕시코 같은 다른 나라에서 강관 등 다른 형태로 가공해 미국에 수출하는 것이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어려워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포항 등 지역 산업 현장은 분위기가 심각하다. 이미 중국산 철강 제품이 국내 시장을 위협,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철강 기업들이 큰 타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경기침체에 대한 위기 극복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사회생 버스'를 타고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직접 12일 위기의 포항을 찾았다. 경북도는 철강 관련 전문 TF팀이나 관련 부서를 신설해 환동해본부에 배치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이철우 도지사는 "철강이 무너지면 자동차·조선 등 연계 산업은 물론, 방위산업까지 몰락한다"며 "위기에서 지혜의 길을 찾아온 대한민국의 중심에 경북이 있었다. 똘똘 뭉쳐 경북의 힘을 다시 한번 보여주자"고 말했다.
구미시는 트럼프발(發) 통상 위기에 맞서 다음 달부터 '구미경제동향분석센터'와 '구미경제혁신포럼'을 본격 운영한다. 경제 위기 징후를 조기에 포착하고, 기업들에게 신속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수출시장 다변화도 적극 추진한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수출기업 지원과 시장 다변화를 통해 트럼프발 통상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尹 친위군사쿠데타·주4일제·국민소환제·30조원 추경" [전문]
[정진호의 매일내일(每日來日)] 푸른 뱀의 계절, 의(義)와 불의(不義)가 충돌하다
김종인 "한동훈, 가장 확장성 있는 후보…국힘, 극우 집회 참여 옳지 않아"
탄핵 반대 집회 의식한 광주 시민단체 "내란 준동 제압 위해 모여달라" 호소
[단독] 대구 범어아파트지구 변경안 유보…'과밀학급' 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