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요르단 국왕에 가자 구상 수용 압박

입력 2025-02-12 15:51:06 수정 2025-02-12 18:51:43

압둘라 국왕과 회담… 압둘라 국왕 "중동 차원의 협력 계획 검토"
이집트 "가자지구 재건 구상을 제시하겠다"

11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이 대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11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이 대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가자 주민 영구 이주 구상에 대해 중동 전체가 반발하는 가운데 11일(현지시간)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과 회담을 가졌다.

이날 회담은 트럼프 대통령이 '가자지구 미국 인수 및 개발 구상'(가자 구상)을 공개한 이후 아랍 국가 정상과 처음 회담하는 자리였다. 그는 자신의 가자 구상을 재차 강조하면서 가자지구 주민 수용을 요르단에 압박했다.

회담 전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들 앞에서 미국이 가자지구를 어느 권한(authority) 하에 둘 것이냐는 기자의 질문에 "미국의 권한"이라고 답한 뒤 현지에 호텔, 사무실 빌딩, 주택 등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가자 구상의 최대 난제인 팔레스타인 주민 이주와 관련, 그는 "요르단과 이집트의 일부 땅과 그 외 다른 지역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요르단을 압박했다.

미국은 2023회계연도(2022년 10월∼2023년 9월)에 요르단에 17억 달러(약 2조5천억원), 이집트에 15억 달러(약 2조2천억원)의 원조를 제공한 바 있다. 미국을 이를 빌미로 두 국가를 은근한 압력을 가하고 있다.

압둘라 2세 국왕은 "우리가 이집트와 아랍 국가들의 계획이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이집트가 (트럼프 대통령 구상에) 어떻게 협력할지에 대한 계획을 내놓을 것"이라고 했다.

이날 압둘라 국왕은 기자들 앞에서 트럼프 구상에 대해 의견 표명을 피했지만, 회담에서는 자국 내 반발 기류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집트는 "종합적인 가자지구 재건 구상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AFP 통신에 따르면 이집트 외무부는 11일 늦게 내놓은 성명에서 팔레스타인 문제의 공정한 해결을 목표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 협력하기를 희망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종합적인 재건 구상은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자신의 땅에 머물 수 있도록 명확하고 단호한 방식으로 보장하며, 이들의 합법적인 권리에 부합하는 내용"이 될 것이라고 외무부는 설명했다.

이번 성명은 트럼프 대통령이 가자 구상에 협조하지 않으면 이집트와 요르단에 대한 원조를 중단할 수 있다고 말한 지 하루 만에 나온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에도 가자 주민의 이주만큼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하며 절충안을 모색하려는 의도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