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중국, 캐나다, 멕시코에 대한 타깃 관세에 이어 10%포인트(p)의 보편 관세까지 도입하면 한국의 대(對)세계화 수출이 지난해보다 1.9%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9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조치에 따른 영향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대중국 10%p 추가 관세 부과(시나리오1) ▷시나리오1+대캐나다·멕시코 25%p 관세 부과(시나리오2) ▷시나리오2+보편관세 10%p 부과(시나리오3) 등 총 3단계로 나눠 미국의 관세 부과 정책이 미치는 한국 수출 영향을 분석한 내용이 담겼다.
보고서를 살펴보면 미국이 중국에 10%p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현재 상황이 지속할 경우, 한국의 올해 대세계 수출은 지난해 대비 4억1천만달러(0.1%)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시나리오1 상황에서 한국의 대중국 수출은 8억1천만달러(0.6%)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대미국 수출은 4억달러(0.3%)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시나리오2가 실행될 경우 한국 대세계 수출은 2억2천만달러(0.03%)로 예상된다. 미국은 3월까지 캐나다·멕시코에 대한 관세 부과를 유예한 상태다.
그러나 타깃 관세에 이어 보편 관세까지 현실화할 경우(시나리오3) 한국의 대세계 수출 감소폭은 크게 확대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국의 대미국·멕시코 수출이 10% 안팎으로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서다.
시나리오3가 현실화하면 한국의 대미국 수출과 대멕시코 수출은 각각 100억3천만달러(7.9%), 15억7천만달러(11.5%)씩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대중국 수출 감소폭은 13억달러(1.0%), 대캐나다는 3억3천만달러(3.2%)가량 축소할 것으로 점쳐진다.
양지원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현재까지 언급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특정국 관세 조치가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대체로 제한적"이라며 "다만 보편관세가 도입되는 시점이 수출 감소의 변곡점이 될 수 있는 만큼 민·관이 선제적으로 대미 아웃리치(대외협력) 활동을 확대하고 관세 전쟁 장기화 가능성에 체계적으로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구 뒤흔든 '尹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대한민국을 지키자"[종합]
"尹 탄핵 반대" 대구 집회 다음은 광주…여당 "언론, 최대 인파 대구 집회 외면해"
무너진 법과 상식, 국가 리더십 실종…국민들 광장으로 쏟아졌다
항공사진 AI 분석, 동대구역에 15만 인파…윤석열 대통령 탄핵반대 한 목소리
이재명 "尹 친위군사쿠데타·주4일제·국민소환제·30조원 추경"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