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와 경찰이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 접속 금지령'을 내렸다.
6일 오전 복지부 관계자는 "딥시크 관련 접촉 차단을 결정했다"며 "산하기관에도 전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경찰청은 언론 공지를 통해 "개인정보 유출 등 보안 우려가 있어 오전 7시부터 보안상 안전성 확인 시까지 업무용 PC의 접근을 차단 조치했다"고 말했다.
경찰청은 비공개 행정정보 입력 유의 등 '생성형 AI 사용 시 주의사항'을 준수하도록 전국 경찰관서에 전파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취재진에 "그간 국가정보원과 행정안전부의 요청에 따라 모든 생성형 AI를 사용할 때 개인정보와 비공개 업무자료 등의 입력을 금지해왔다"라며 "이날 접속 차단 등 후속 조치를 한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차단 대상이 되는 생성형 AI를 특정하지 않았다. 다만 통일부는 업무용 컴퓨터에서 딥시크의 접속을 막은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외교부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등도 딥시크의 접속을 차단했다.
딥시크는 저렴한 개발 비용 대비 뛰어난 성능으로 주목을 받았으나, 최근 중국의 검열 정책과 정보 유출 우려가 제기된 상황이다.
외교부를 비롯해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국방부 등 경제·안보와 밀접한 부처는 전날부터 접속을 차단했고, 복지부, 환경부를 비롯한 사회 관계부처들도 속속들이 접속 차단 조치를 하고 있다.
복지부는 앞서 과거 챗GPT 관련 유사 사례 발생 당시 보완문서에 유의하라는 수준의 지침을 내린 바 있다. 그러나 이번에는 접속 자체를 원천 차단하며 대응 수위를 높였다.
금융감독원 역시 이날 딥시크 등 일부 보안상 우려가 있는 생성형 AI의 접속을 차단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직원들에게 개인적으로도 생성형AI에 개인정보와 민감정보를 입력하지 않도록 보안에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금감원은 차단 배경에 대해 "최근 국정원 등 정부에서 딥시크 등이 업무에 활용될 때 과도한 사용자 정보 수집으로 인해 민감정보 및 사내 기밀정보 유출 등 우려가 있으므로 보안에 유의할 것을 요청했다"라고 전했다.
환경부와 국가 주요 기반시설 중 하나인 댐 운영을 담당하는 한국수자원공사도 이날 중 딥시크 접속을 차단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 4일 행정안전부는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딥시크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하라는 공문을 보냈다. 공문에는 생성형 AI에 개인정보 입력을 자제하고, 생성형 AI가 내놓은 결과물을 무조건 신뢰하지 않아야 한다는 취지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부, 외교부, 산업부는 전날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딥시크 이용을 한시적으로 차단했다. 정보 유출 우려가 커진데 따른 조치로 국가 보안 시설인 원자력발전을 운영하는 한국수력원자력 등 에너지 공기업도 사용 제한 조치를 취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 [영상]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대통령실 前 행정관 "홍장원, 대북공작금 횡령 의혹부터 해명해야"
"절대 찍고 싶지 않은 사람" 이재명, '비호감도' 차기 대선주자 중 1위
尹 대통령에 날선 비판…김영록 전남지사 "대선 출마 결심 굳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