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전쟁] 美 정책 기조 변화에 위협받는 철강·자동차·조선

입력 2025-02-05 17:01:38 수정 2025-02-05 17:21:38

자동차, 미국 현지 투자 확대와 수출 다변화 모색
철강, 수입쿼터·보편관세 부과에 대응…조선, 한미협력 강화 지원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등 정책 기조 변화에 따라 한국의 최대 수출품인 철강과 자동차가 직격타를 맞을 것으로 우려된다. 이에 정부는 관련 업계와 머리를 맞대고, 대미 투자확대와 수출 다변화 등을 꾀하는 등 업종별 맞춤형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미국 신정부 출범에 따른 산업별 영향 및 대응방향'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에는 반도체산업협회, 배터리산업협회, 조선해양플랜트협회, 자동차협회, 철강협회 등의 의견을 수렴했다.

내수부진을 북미시장 중심의 수출 호조로 극복하던 자동차 산업은 암초를 만난 분위기다. 트럼프 행정부가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조사를 실시하고 한국 자동차에 고율 관세나 쿼터를 설정할 가능성이 점쳐져서다. 현재 대미 수출 비중이 50%가 넘는 상황에서 10~20%로 예상되는 보편관세가 도입되면 수출 물량을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여기에 캐나다·멕시코에 25% 관세를 부과할 경우에도 타격이 상당할 전망이다. 기아 멕시코 현지 공장이 대표적이다.

이에 자동차 업계는 대미 투자 확대 등 현지화 노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현대차그룹의 미국 판매 중 현지생산 비중은 현재 약 44%인데 신공장을 가동하면 60~75% 수준으로 확대된다. 수출도 다변화한다. 자동차 업계는 멕시코산 제품의 생산지 변경과 북남미, 유럽 등으로의 판로 확대를 검토한다. 현대차그룹은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에 공장을 운영하고 확대할 계획이다.

철강산업은 위기와 기회 요인이 상존한다는 것이 정부 판단이다. 위험 요인은 미국이 한국에 부여한 연간 263만톤(t) 무관세 쿼터를 축소하면 미국에 진출한 현대차, 삼성, LG 기업 등 후방산업에 대한 소재 공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이다. 반대로 캐나다와 멕시코 등 주요 수입국 대상으로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 내수 및 수입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대미 수출을 통한 수익 향상도 기대된다.

현재 미국 상무부는 철강232조 재조사 여부를 검토 중이며 오는 4월 1일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해당 조항은 미국 외 국가에서 생산된 철강과 알루미늄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정부와 업계는 한국 철강제품의 미국 제조업 기여방안 논리를 세우고 올해 상반기 중 미국 정부와 상·하원 의원, 싱크탱크 등을 대상으로 한국산 인식 제고를 위한 아웃리치(대외협력)를 추진키로 했다.

반면 조선은 트럼프 정부의 수혜 대상으로 기대되는 산업이다. 현재 조선업계는 트럼프 정부가 미국 조선산업 재건을 위한 협조를 요청할 가능성, 군함 항공정비(MRO) 수주 확대 및 신조 수주 가능성 등을 열어두고 있다. 이에 정부와 업계는 한-미 조선협력의 효율적 대응을 위한 민·관 협의체 구성·지원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