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피해·마약 유입 억제 등 해당 국가에 대한 경고 메시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캐나다·멕시코·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가 '일시적 조치'가 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골드만삭스는 2일(현지시간) "전망은 불확실하지만, 경제적 피해와 마약 펜타닐 유입 억제라는 조건 등을 고려할 때 관세 부과는 일시적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골드만삭스는 관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강조한 것은 마약 펜타닐의 무분별한 유입으로 해당 국가에 대해 경고하기 위해 이 같은 조치를 취했다는 것이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와 접한 남부 국경과 캐나다와 맞닿은 북부 국경에서 펜타닐이 대량으로 들어오고 있으며, 펜타닐 제조를 위한 원료를 중국이 공급하고 있다고 주장해왔다.
또 현재로선 관세 부과 절차가 진행되고 있지만, 4일 관련 행정명령 발효 직전 "마지막 순간에 타협될 여지도 있다"고 골드만삭스는 부연했다. 지금까지 멕시코와 캐나다 등은 미국 관세 부과에 보복 조처 단행 의지를 밝히면서도 한편에선 협상을 두고 미국 행정부와 접촉을 이어오고 있다는 것이다.
국내 증권가에서도 같은 맥락의 분석이 나왔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자동차·에너지 업체 등 주요 기업들의 반발 등을 고려할 때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관세 부과 정책이 장기화할지는 조금 더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또 "(캐나다산) 원유에 대한 수입 관세가 10%로 하향 조정된 것은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 관세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여겨진다"며 "관세 부과로 인한 미국 경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고민이 보이는 대목"이라고 짚었다.
박 연구원은 "관세가 부과되는 3국은 미국 전체 수입의 약 43%를 차지하고 있어 수입 물가 상승을 통해 각종 (미국) 물가에 상승 압력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번 주 트럼프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에서 관세와 환율 문제에 대해 어떤 협상 결과가 나올지에 따라 향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혹은 관세 리스크를 판단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잣대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탄핵은 무효"…尹 구속 후 첫 주말집회, 궂은 날씨에도 부산역 뒤덮은 인파
[계엄 두 달]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와는 다른 尹 지지율
[단독인터뷰] 그라운드C 김성원, 헌법재판소 편향성 저격… "국민이 납득할 수 있나" [영상]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김부겸 "제왕적 대통령제 걷어내야…비상계엄 사태 터진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