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나마운하 해법 동상이몽…美 "中 영향력 빼야" vs 파나마 "우리가 운영"

입력 2025-02-03 16:22:02 수정 2025-02-03 20:53:32

美국무 "파나마서 조약 위반, 현 상태 용납 안 돼"…운하 직접 방문
파나마 대통령 "중국 영향력 없다…기술적 검토로 의구심 해소" 제안

파나마 운하 아구아 클라라 갑문 통과하는 컨테이너선. 연합뉴스
파나마 운하 아구아 클라라 갑문 통과하는 컨테이너선. 연합뉴스

미국과 파나마가 파나마 운하 운영을 두고 이견을 보이고 있다. 미국은 파나마 운하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을 즉각 줄일 것을 요구하는 반면 파나마는 운하 통제·운영은 주권 사항으로 논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2일(현지시간) 취임 후 첫 해외 방문지로 파나마를 찾아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을 면담하고 파나마 운하 운영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를 전달했다.

미 국무부는 이날 대변인 성명을 통해 "루비오 장관은 파나마 운하에 대한 중국의 통제력이 위협적이며 영구적 중립성을 담보해야 한다는 (미국과의) 조약을 위반하는 것이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예비적 결정을 파나마 측에 알렸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루비오 장관은 현 상태를 용납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달 20일 취임 전부터 중국이 파나마 운하를 운영한다면서 이를 시정하지 않을 경우 1999년 파나마에 이양한 운하 통제권을 환수할 수 있다고 여러 차례 언급했다.

로이터통신과 미 CNN방송 등은 "CK 허치슨 홀딩스 자회사가 파나마 운하 양 끝단에 있는 2개 항구(발보아·크리스토발)를 운영할 뿐"이라며, '중국의 파나마 운하 통제' 주장은 가짜뉴스라고 지적한 바 있다. CK 허치슨 홀딩스는 홍콩계 업체다.

파나마는 즉각 반발했다. 물리노 대통령은 이날 루비오 장관과의 면담 후 파나마 정부 유튜브 채널에서 생중계된 기자회견에서 "파나마 운하 통제·운영과 관련한 주권은 (외국 정부와의) 논의 대상이 아니다"면서 "운하는 파나마가 운영하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피력했다.

다만 파나마 대통령은 "미국의 의구심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적 수준의 검토 협의체"를 이날 루비오 장관에게 제의했다고 AFP는 보도했다.

파나마 당국은 별도로 CK 허치슨 홀딩스 자회사를 상대로 자금 흐름 등에 대한 강도 높은 감사도 진행하고 있다.

파나마 정부는 중국과의 관계 변화를 시사하기도 했다. 물리노 대통령은 "'일대일로'(一帶一路·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관련 협정 효력을 조기에 종료할 수 있다"면서 "관련 협정을 갱신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파나마는 중남미에서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에 처음 참여한 국가다.

파나마 대통령은 또 남미 이민자들의 육로 이동 구간에 대한 단속 강화도 약속했다. 그는 "환승국가인 파나마에서의 이민자 흐름은 안정적"이라면서 "미국에서 이민자를 송환할 경우 그 비용은 (미국에서) 부담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