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경제에도 부담…연준, 금리 인하 제동 걸리나 [트럼프 관세전쟁]

입력 2025-02-02 18:30:00 수정 2025-02-02 19:23:17

美 연구소 "관세 부과 시 미국 GDP 2천억 달러 감소할 것"
멕시코·캐나다서 수입하는 미국 식탁물가도 대거 오를 듯
인플레이션 심화되면 금리인하 불투명

미국과 멕시코간 국경. AFP 연합뉴스
미국과 멕시코간 국경.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 보편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가운데 이 같은 조치가 미국 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관세 부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고조되면서 미 연준의 금리 인하도 어려워질 것으로 예측된다.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멕시코·캐나다에 25% 관세 부과 시 트럼프 대통령 임기 4년간 미국의 국내총생산(GDP)이 2천억달러(290조원) 감소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미국의 성장률을 2026∼2029년 매년 0.2%포인트가량 낮추고 올해 인플레이션을 0.43%포인트 높이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추산했다.

피터스국제연구소 맥키빈 위원은 "미국이 중국에 10%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이 그에 상응하는 보복 조치를 한 경우엔 4년간 미국의 GDP가 550억달러(80조원) 감소하고, 중국의 GDP는 1천280억달러(186조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특히 관세가 강행되면서 미국의 식탁물가가 대거 오를 것으로 보인다. 미 농무부·세관 통계를 보면 2023년 미국의 농산물 수입액 1천959억달러(약 285조원) 가운데 44%인 약 860억달러(약 125조원) 상당의 수입 물량이 멕시코·캐나다에서 왔다.

로이터통신은 1일(현지시간) 인플레이션에 대한 유권자들의 불만을 등에 업고 대선에서 승리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서민들의 부담을 덜어주겠다고 공약했지만 이번 관세로 인플레이션이 초래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미국 내 인플레이션이 심화될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금리 인하도 불투명해질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달러화 가치가 강해져 한국도 원·달러 환율 상승을 피할 수 없다. 환율이 계속 오를 것으로 예상되면 환차손을 우려하는 외국인의 한국 주식시장 이탈도 커질 수 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지난 29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4.25∼4.50%로 동결한 후 "고율 관세 등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한 정책의 영향에 대해선 정책이 구체화하기 전까진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기 어렵다"며 금리 인하를 유보한 바 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을 통해 "제이 파월(연준 의장)과 연준은 자신들이 인플레이션으로 만든 문제를 멈추게 하는 데 실패했다"며 "나는 인플레이션을 멈추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일을 할 것이다. 재정적 측면 등에서 미국을 다시 강력하게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