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금지령', 일본 '공무원 이용 자제'
이탈리아 '사용 차단', 인도 '자체 개발 서둘러'
세계 각국이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개발한 AI 챗봇 '경계령'을 내리는 등 손절하는 분위기다. 중국 정부로 해당 국가의 주요 정보와 개인 정보들이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딥시크에 자극받은 일부 국가는 자체 AI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금지령 내린 대만·일본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 국가는 대만이다. 중국에 대항해 국가 생존을 최우선하는 대만은 딥시크의 서비스 이용 금지령을 내렸다.
대만 디지털부는 지난달 31일 공공부문 근로자들에게 중국 정부로 데이터가 유출돼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며 딥시크 사용 금지 조치를 내렸다. 대상은 중앙 및 지방정부 부처·기관과 공립학교, 국유기업, 기타 준관영 조직의 직원들이다.
일본 정부도 공무원에게 이용을 삼가도록 할 방침을 밝혔다.
2일 공영방송 NHK에 따르면 다이라 마사아키 디지털상은 딥시크 AI와 관련해 "개인 정보가 제대로 보호되는지가 문제"라면서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지킨다는 관점에서 필요하면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대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데이터 보호라는 관점에서 우려가 불식되기 전까지는 공무원이 사용하는 것을 삼가거나 사용하려면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31일 일본 중의원(하원)에서도 자민당 주요 간부인 오노데라 이쓰노리 정무조사회장이 딥시크 AI가 센카쿠 열도를 중국 땅이라고 답변한다며 "위험하기 때문에 딥시크를 다운로드하는 것은 중지하기를 바란다"고 요구했다. 이에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신뢰할 수 있는 AI를 개발하고 이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딥시크 조사하는 유럽
유럽 각국도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이탈리아는 딥시크 사용을 차단했다. 이탈리아 개인정보 보호 기관인 가란테(Garante)는 개인 정보 사용의 불투명성을 들어 딥시크 사용을 차단했다고 30일(현지시간) 밝혔다. 이탈리아에서는 29일부터 애플과 구글 앱 스토어에서 딥시크에 접속할 수 없었다.
가란테는 딥시크 측에 사용자 데이터 처리 방식에 대한 질의서를 발송했다. 어떤 개인 정보를 어디에서 수집해 어떻게 이용하는지, EU 정보보호 규제에 따른 데이터 처리를 하고 있는지, 이 같은 데이터가 중국 내 서버에 저장되는지 등을 질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영국 정부는 딥시크를 국가 안보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다.
피터 카일 영국 과학혁신기술부 장관은 언론과 인터뷰에서 "딥시크의 규모와 영향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고 올바른 시스템을 거치도록 할 것"이라며 "영국에는 아주 성숙한 정보·보안 기관이 있다"고 말했다.
프랑스 국가정보자유위원회(CNIL)도 데이터 보호 측면에 관한 위험성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딥시크 측에 시스템 작동 방식 등에 대해 질의할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
독일도 딥시크 앱에 대한 규제 조치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다.
◆자체 개발 나선 인도
인도는 AI 개발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31일(현지시간) 현지 매체와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아슈위니 바이슈노 인도 정보통신부 장관은 전날 수도 뉴델리에서 취재진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바이슈노 장관은 "정부가 AI 관련 18개 프로젝트를 최근 선택했다"면서 "이들 프로젝트를 제안한 업체는 컴퓨팅 인프라와 데이터 등과 관련해 정부 지원을 받아 농업과 기후변화 등의 부문에서 AI 관련 앱을 구축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바이슈노 장관의 이번 언급은 딥시크가 최근 저가형 AI를 출시해 IT 업계에 충격을 안긴 가운데 나왔다.
인도 정부는 국내 AI 관련 기업들이 향후 수년에 걸쳐 데이터 센터 구축에 300억달러(약 43조7천억원)를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탄핵은 무효"…尹 구속 후 첫 주말집회, 궂은 날씨에도 부산역 뒤덮은 인파
헌재 "문형배 SNS, 尹탄핵심판과 연관없어…본질왜곡"
울부짖은 전한길 "헌법재판관 '검은 커넥션'…이 재판을 국민들이 신뢰하겠나"
김부겸 "제왕적 대통령제 걷어내야…비상계엄 사태 터진 이유"
[단독인터뷰] 그라운드C 김성원, 헌법재판소 편향성 저격… "국민이 납득할 수 있나"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