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독주·이재명 포비아, 그리고 중도층·2030 가세, 與·尹 지지 민심 상승
윤석열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 사태를 일으킨 지 오늘로 두 달이 됐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발표 영상을 보면서 처음 든 생각은 '이게 비상계엄 이유가 되나?' '뒷감당을 어떻게 하려고 하나'였다. 줄탄핵·특검 등으로 국정을 발목 잡은 야당의 무도함을 알리는 목적이었다고 하기에는 동의하기 어려운 방식이어서다. '정치는 정치로 풀어야 한다'는 게 여의도 문법이고, 정치 초보 대통령의 무리수라는 여론이 대체적이었다.
그런 분위기를 반영하듯 사태 11일 만에 국회는 야당 주도로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통과시켰고, 집권 여당은 '내란 옹호당'으로 몰려 8년 전 박근혜 대통령 탄핵의 악몽에 직면해야 했다.
하지만, 지난 두 달 새 정국 기류는 의외의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윤석열의 죄는 박근혜보다 비교할 수 없이 중하다'던 비판 여론이나, '윤석열 팬덤은 박근혜 지지자보다 결집도가 낮다'는 전망이 무색할 정도다.
사태 초기 지지율 조사에서 '더블 스코어'로 앞서 갔던 더불어민주당은 한 달 만에 국민의힘과 박빙이 됐고, 오히려 국민의힘 지지율이 오차 범위 밖에서 민주당을 앞서 나가며 롤러코스터를 탔다. 80%에 육박했던 윤 대통령 탄핵 찬성 여론 중 상당수가 반대로 돌아섰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탄핵 소추부터 인용 판결에 이르기까지 3개월 동안 찬반 여론이 크게 변화하지 않았던 것과는 전혀 다른 양상이다.
이런 민심(民心) 변화의 이유는 뭘까. 보수 대결집과 이재명 포비아(공포증) 그리고 중도층·2030의 가세로 여겨진다.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 문턱을 넘을 때만 해도 탄핵은 기정사실 같았다. 국회에선 야당 의원 질책에 한덕수 국무총리를 비롯한 국무위원들이 '고개 숙여 사죄'했고, 군·경찰 수뇌부가 줄줄이 국회로 불려 나와 추궁을 당했다. 헌법재판관 임명을 미룬다는 이유로 당시 한덕수 국무총리 겸 대통령 권한대행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의결하고, 최상목 권한대행으로 바꾼 것은 민심 이반의 서막(序幕)이었다. 보수 지지자들의 결집은 이즈음부터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다음으로, 민심의 역풍(逆風)을 가속화시킨 것은 민주당의 연이은 자충수였다. 야당 주도의 국회 소추단이 윤 대통령 탄핵 심판에서 내란죄를 철회한 것이 터닝 포인트였다. 야당은 '내란 조기 종식을 위한 원활한 탄핵 심판'을 이유로 댔지만,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사법 리스크를 피하기 위해서라는 것은 누구라도 쉽게 눈치챌 수 있었다. 탄핵 반대 집회에서 연일 목소리를 높이는 전한길 강사는 이걸 두고 "짜장면을 시켰는데, 단무지만 내왔다"고 기막힌 비유를 했다. 이후 카카오톡 검열 논란 등 '충성파'들의 잇단 무리수가 여론의 반감에 기름을 부었다.
끝으로, 주목할 대목은 이런 민주당 독주에 대한 누적된 반감과 '이재명 되면 우리 다 죽는다'는 이재명 포비아가 기존 보수층의 결집을 넘어 중도층·2030세대의 공감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일부 여론조사에서 보듯 중도층에서는 이 대표에 대한 선호도가 오히려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중도층·2030세대는 특정 정당·이념을 무조건 따르기보다는 사안별로 입장을 달리하는 경향이 있다. 지지 정당·이념을 떠나 "이건 좀 문제가 있잖아!"라는 생각이 그것이다. 윤 대통령 수사 전 과정의 법적 논란, 헌법재판관 성향 논란 등이 반감을 키웠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1일 부산역에 운집한 윤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 규모와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댓글 많은 뉴스
"탄핵은 무효"…尹 구속 후 첫 주말집회, 궂은 날씨에도 부산역 뒤덮은 인파
헌재 "문형배 SNS, 尹탄핵심판과 연관없어…본질왜곡"
울부짖은 전한길 "헌법재판관 '검은 커넥션'…이 재판을 국민들이 신뢰하겠나"
김부겸 "제왕적 대통령제 걷어내야…비상계엄 사태 터진 이유"
[단독인터뷰] 그라운드C 김성원, 헌법재판소 편향성 저격… "국민이 납득할 수 있나"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