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경주공항도 콘크리트둔덕 있어…국토부 "연내 개선"

입력 2025-01-13 15:04:53 수정 2025-01-13 21:16:22

국내 공항 7곳 등 위험 요소…이달 개선 방안 마련해 연내 완료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16일째인 13일 오전 무안국제공항 사고 현장에서 소방 대원들이 기체에 덮인 방수포를 걷어내고 있다. 연합뉴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16일째인 13일 오전 무안국제공항 사고 현장에서 소방 대원들이 기체에 덮인 방수포를 걷어내고 있다. 연합뉴스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이후 정부가 국내 공항 활주로를 전수 조사한 결과 포항경주공항 등 7개 공항에 콘크리트 둔덕 등 위험시설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항공 당국은 이달 중 항행안전시설 개선안을 마련하고 연내 개선을 완료할 방침이다.

1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전국 공항 항행안전시설 특별점검 한 결과 방위각 시설과 그 기초대에 대해 무안공항을 포함해 총 7개 공항, 9개 시설에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9일 무안공항 참사에서 활주로 인근 항행안전시설이 인명피해를 키운 것으로 지목되자 국토부는 2~8일 전국 13개 공항의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LLZ) 등 항행안전시설의 위치, 재질 등 실태를 점검했다.

국내 민간, 민·군 겸용 공항 15곳 중 이번에 사고가 발생한 무안공항에 대해서는 별도로 조사가 이뤄졌다. 나머지 1곳은 미군이 관리하는 군산공항으로 미군 협조를 받아 따로 조사할 예정이다.

이번 조사는 13개 공항의 로컬라이저 32개와 활공각 제공 시설(GP), 거리측정 장치(DME) 51개, 전방향 표지(VOR) 17개소에 대한 현장 점검으로 진행됐다.조사 결과 무안공항을 비롯해 모두 7개 공항에서 항공기와 충돌 시 쉽게 부서지지 않아 피해를 키울 것으로 우려되는 로컬라이저 시설이 발견됐다.

포항경주공항, 광주공항, 여수공항에는 1개씩 콘크리트 둔덕 형태의 로컬라이저 구조물이 있었다. 둔덕은 없었지만 김해공항(2개)와 사천공항(2개)에는 콘크리트 기초가 일부 땅 위로 튀어나온 구조물이, 제주공항에는 H형 철골 형태의 단단한 구조물이 있었다.

나머지 7개 공항 26개 시설은 로컬라이저 구조물이 땅에 묻힌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로컬라이저 위치를 보면 인천과 양양공항은 종단안전구역 내 설치돼 있었으나, 모두 부러지기 쉬운 재질로 안전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양양공항은 시설 기초 부분 지반이 일부 내려앉으면서 높이가 관리 기준인 7.5㎝를 약 4∼5㎝ 넘는 것으로 나타나 즉시 흙을 채워 넣는 등 조치하도록 했다.

활공각 제공 시설과 거리측정 장치 등 기타 시설은 모두 충돌 시 위험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항행안전시설 외에 전국 공항 주요 공항시설에 대해서는 21일까지 특별 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이번 특별점검 결과와 종합해 안전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특히 방위각 시설은 이달 중 개선 방안을 마련해 연내 개선 완료를 목표로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