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전 처장 "성실히 임했고, 소상하게 설명했다"
박 전 처장 사표 수리되면서 경찰 예상 틀어진 것으로 보여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1차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혐의로 경찰 조사를 받은 박종준 전 대통령경호처장이 13시간 만에 귀가했다. 일각에서는 경찰이 긴급체포 할 가능성이 높았다고 봤지만, 경찰은 박 전 차장을 귀가시켰다.
지난 10일 오후 11시 10분쯤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경찰청 중대범죄수사과에서 조사를 마치고 나온 박 전 처장은 "수사기관의 조사에 최대한 성실히 임하려고 노력했고, 소상하게 설명했다"고 밝힌 뒤 귀가했다.
앞서 박 전 처장은 같은날 오전 10시 5분쯤 경찰청에 출석해 "어떠한 경우에도 물리적인 충돌이나 유혈 사태가 일어나서는 안 된다"며 조사에 들어갔다.
이날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은 박 전 처장에게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저지를 위해 경호처에 어떤 지시를 했는지 ▷영장을 수용하지 않는 배경이 무엇인지 ▷일반병사를 동원했는지 ▷2차 체포영장 집행을 앞두고 어떤 준비를 했는지 등을 집중 추궁했다.
일각에선 경찰이 박 전 처장에 대한 조사가 끝난 직후 긴급체포를 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조사를 받던 도중 박 전 처장이 사표를 냈고, 이를 최상목 대통령권한대행이 빠르게 수리하면서 상황이 급반전됐다.
박 전 처장이 출석 당시엔 현직, 퇴청시 전직이 되면서 조사 후 집으로 갈 수 밖에 없게 된 것이다. 최 권한대행의 '사직수리'가 경찰의 예상을 틀어버린 셈이다.
만약 경찰이 현직의 박 전 처장을 조사 후 풀어줄 경우 관저로 복귀한 박 전 처장이 2차 체포 영장 집행을 방해할 우려가 높았다. 그래서 2차 체포영장 집행을 앞둔 경찰은 박 전 처장을 긴급체포해 이를 막으려 한 것이다.
다만 경찰은 박 처장에 대해 추후 구속영장을 신청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많은 뉴스
"판사가 법 아닌 정치에 휘둘려…법치 죽고 양심이 사라졌다"
[단독] 영 김 美 하원의원 "탄핵 주도 세력은 한반도에 큰 재앙 초래할 것"
지지율 상승에도 기회 못 잡는 與…한가하게 개헌론 꺼낼 땐가
되풀이 되는 대통령 수난사…정치권에서는 개헌 목소리 커져
尹측 '중국 간첩' 언급에 선관위 "사실 아냐···사소한 실수, 부정선거 증거 못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