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확보 '로컬라이저 앞까지'…해석 혼선 빚는 규정 정비 방침
엔진에서 깃털, 유입 과정 분석…사고 직접 원인 여부 조사 필요
전남 무안국제항공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원인 규명과 관련한 '진실의 퍼즐' 조각이 하나 둘 맞춰지고 있다. 사고 당시 조류 충돌이 공식적으로 처음 확인된 가운데 정부는 사고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된 '콘크리트 둔덕' 안전성 확보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항공안전을 총괄하는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는 7일 사고 당시 여객기가 충돌한 활주로 끝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의 콘크리트 둔덕형 구조물과 관련해 "규정 위반은 아니지만,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하는 방향으로 검토하는 것에는 미흡했다"고 밝혔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이날 정부 세종청사에서 열린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브리핑에서 "사고 이후 로컬라이저의 콘크리트 둔덕과 같은 공항 시설에 대해 국민께서 우려하고 계시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규정 준수 여부를 떠나 안전을 보다 고려하는 방향으로 신속히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로컬라이저 위치와 종단안전구역 연장 여부를 둘러싼 규정을 정비하고, 포항과 여수공항 등 둔덕 형태의 로컬라이저가 설치된 공항에 대해서도 안전을 최우선으로 개선 작업을 시급히 실시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사고 원인으로 지목된 조류 충돌에 대해선 처음으로 '확인' 입장을 밝혔다.
이승열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항철위) 사고조사단장은 이날 함께 열린 브리핑에서 "한쪽 엔진은 (조류 충돌로) 확실하게 보이는데, 양쪽 엔진에서 같이 일어났는지, 다른 엔진에서 덜 심하게 일어났는지는 (조사 결과를) 봐야 한다"면서 "다만 (조류 충돌이) 심하게 일어났다고 해서 엔진이 바로 꺼지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 단장은 조류 충돌의 근거로 "엔진에 들어간 흙을 파내는 과정에서 깃털 일부를 발견했다"며 "(새가) 어떤 종이고 어떻게 (엔진에) 들어갔는지는 엔진 내부를 검사하면서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깃털의 경우 국내 전문가뿐 아니라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와 분석 작업을 거칠 계획이다.
이로써 조류가 엔진에 빨려 들어갔다는 사실은 어느 정도 확인되는 셈이지만,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이 됐는지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조류 충돌 이후 여객기가 다시 떠오른 이유 ▷고도를 충분히 올리지 못한 채 눈물 비행(티어 드롭)으로 반대편에 착륙한 이유 ▷이 과정에서 바퀴 없이 동체 착륙을 하게 된 원인 등에 대한 집중 조사가 필요하다.
현재 국토부는 이 같은 쟁점을 확인하기 위해 조종실 음성기록장치(CVR)와 비행기록장치(FDR)를 분석 중이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 '尹 40% 지지율' 여론조사 결과에 "고발 추진"
尹 탄핵 집회 참석한 이원종 "그만 내려와라, 징그럽다"
"尹 영장재집행 막자" 與 의원들 새벽부터 관저 앞 집결
尹 탄핵 정국 속 여야 정당 지지율 '접전'…민주 37% vs 국힘 36.3%
공수처장 "尹 체포영장 집행 무산, 국민들께 사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