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3위에서 지난해 1위 도약
IRA 수혜 배터리사 미국 진출 영향
정부 중심 협상력이 관건
한국 2차전지 소재 기업이 세계 최대 배터리 시장인 미국에서 1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향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후 입지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2일 한국무역협회가 분석한 유엔 무역통계(UN Comtrade)에 따르면 미국의 양극재·음극재·분리막 수입액은 2020년 50억2천100만달러에서 2023년 96억9천800만달러로 93.1% 증가했다. 미국의 배터리 소재 수입이 배 가 동안 중국 비중은 크게 줄고, 한국 비중이 급격히 상승했다.
2020년 당시 중국이 28.9%로 1위였고 일본(17.2%), 독일(10.1%), 캐나다(9.1%)가 뒤를 이었다. 당시 한국의 비중은 8.5%로 선두권에 끼지 못했다.
하지만 2023년에는 한국과 일본이 각각 33.7%, 26.4%로 양강 구도를 형성했다. 3위인 중국의 비중은 8.4%로 뚝 떨어졌다. 지난해 한국의 대미(對美) 3대 배터리 소재 수출액은 총 32억6천800만달러였다. 양극재가 29억3천만달러로 90% 가까이 차지했다. 통상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는 전체 배터리 가격의 약 40%를 차지한다.
미중 무역분쟁이 심화되면서 배터리 소재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이른바 한국 배터리 3사가 미국에 대규모 배터리 공장을 지으면서 한국에서 원료로 가져다 쓰는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등 소재의 양이 늘어난 상황이 무역 통계에 반영된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 배터리 산업은 트럼프 당선인 인수팀이 전기차 소비 보조금을 대폭 축소하는 대신 배터리 소재에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최근 보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앞서 바이든 행정부 역시 막대한 국가 재정을 투입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소비·생산 보조금을 줘 친환경 전기차 보급을 늘리고,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는 노력을 해왔다.
하지만 로이터는 인수팀 내부 문건을 인용해 "세계 모든 배터리 소재에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미국 내 생산을 장려하고, 이후 동맹국들과는 개별적인 협상을 통해 관세를 면제하는 방안을 권고하고 있다"고 최근 보도했다. 향후 무차별 배터리 소재 관세가 현실화하면 한국 배터리 업계가 'IRA 질서'에 적극 대응해 구축한 '한국 재료, 미국 생산'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높다.
IRA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를 체결한 국가에서 가공된 배터리 소재도 자국산과 동등하게 인정해 전기차 소비 보조금을 준다. 이에 따라 한국 배터리 기업은 대부분 미국에 대규모 배터리 셀 공장을 짓고 양극재 등 소재를 한국, 캐나다 등 미국과 FTA를 체결한 국가에서 생산한 제품을 가져다 쓰는 사업 모델을 구축하는 데 막대한 규모의 투자를 단행했다.
미국의 배터리 소재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면 가격 인상이 불가피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전기차 수요를 억제해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에 빠진 업계의 어려움을 가중하는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트럼프 신정부의 대중 견제 의지가 바이든 행정부 이상으로 강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중국이 선도 기술을 장악한 리튬인산철(LFP) 양극재 시장에서 후발 주자인 한국이 '반사이익'을 볼 수 있어 기회 측면도 공존한다는 지적도 있다. 또 중국산 음극재를 대상으로 한 미국의 관세가 크게 오르면 중국산 저가 공세로 어려움을 겪는 국내 유일의 음극재 양산 기업인 포스코퓨처엠이 대미 수출에서 활로를 찾을 가능성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 업체들도 관세 대상이 될 가능성이 커 보이지만 우방국은 협상을 거쳐 제외 가능성이 거론되는 만큼 실제 열외가 될 수 있는지는 정부의 협상력에 달렸다"며 "산업 전반의 비용 상승에 수요 감소가 우려되나 중국산 소재 관세가 높게 매겨지면 한국 소재의 시장 경쟁력이 확보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내 인생 최고 공연" 보수단체 심기 건드린 이승환, 구미 공연 어떻게 되나
언론이 감춘 진실…수상한 헌재 Vs. 민주당 국헌문란 [석민의News픽]
김용현, "탱크로 밀어버려" 주장한 추미애 고소…"반국가 세력의 거짓 선동"
선관위의 현수막 이중잣대? '與의원 내란공범' 허용 VS '이재명은 안돼' 불허
부정선거 알레르기 반응 세력, 도대체 왜? [석민의News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