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도 AI 붐 유효 반도체 '맑음' 자동차·배터리 '흐림'

입력 2024-12-11 14:07:29

대한상공회의소 '2025년 산업 기상도 전망 조사'

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공회의소제공
대한상공회의소제공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을 앞두고 내년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고조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인공지능(AI) 산업의 성장 지속으로 반도체 산업은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자동차 산업은 관세장벽과 중국 업체의 해외진출로 고전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온다.

◆ AI붐 여전히 유효 반도체 '맑음'

대한상공회의소는 11일 이같은 내용의 '2025년 산업 기상도 전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최근 11개 주요 업종별 협회·단체와 실시한 이번 조사에서 반도체 산업은 '대체로 맑음'(좋음)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산업은 데이터센터, 서버 등 AI 산업 인프라 지속 투자, AI 기기 시장출시로 고부가가치 반도체의 견고한 상승 흐름이 예상된다. 미국의 대중 수출 규제 압박 및 관세 인상 등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급격한 시황 악화는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반도체 수출 규모만 놓고 보면 올해보다 소폭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나 여전히 한국 전체 수출을 견인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는 "올해 수출은 당초 예상치를 상회하며 지난해보다 41% 증가한 1천390억달러(약 198조원) 내외가 될 것"이라며 "내년에는 소폭(-2.9%) 감소한 1천350억달러(약 193조원)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가 29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가 29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왜 AI와 반도체를 함께 이야기하는가?' 국민의힘 초선의원 공부모임에 참석해 인사말 하고 있다. 연합뉴스

특히 AI 서비스 구현을 위한 설비투자가 늘어 수혜를 입을 수 있다.

고종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략기획실장은 "내년 글로벌 반도체 설비투자는 주요국들의 반도체 지원책에 힘입어 올해 대비 7.9% 증가한 1천872억달러(약 267조원)로 전망된다"며 "한국도 용인 반도체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설비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디스플레이산업 역시 스마트폰 AI기능 적용 본격화에 따른 교체수요, 프리미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출하량 증가로 '대체로 맑음'으로 예보됐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는 "내년 수출은 올해 대비 4%가량 증가한 194억8천만달러(약 28조원)로 예상된다"며 "다만 트럼프발 미중 무역분쟁 심화에 따른 국내 패널 기업 고객사(애플 등)의 중국 내 점유율 감소 우려는 큰 하방 리스크"라고 분석했다.

조선·바이오·기계 산업도 긍정적인 전망이 우세하다.

조선업은 트럼프의 화석연료 부흥책에 따라 에너지 운반선(탱커, LNG 운반선) 발주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으며 건조·수리·선박 수출 분야에선 미국과의 긴밀한 협력 기대감이 호재 요인으로 꼽혔다. 내년 선박류 수출액은 올해 대비 9.1% 증가한 267억6천만달러에 달할 것으로 관측됐다.

바이오 산업은 트럼프 정부의 약가인하 정책 기조, 유럽연합(EU)·미국의 교체 처방 장려 등으로 인해 바이오시밀러 분야 국내기업의 글로벌 진출 기회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기계 산업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무역정책에 따른 미국 내 중국산 대체효과와 글로벌 반도체 설비투자 증가 등을 통해 수출이 소폭 늘 것으로 기대됐다.

21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골드스테인하우스에서 열린
21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골드스테인하우스에서 열린 '아이오닉9' 공개행사에서 현대차 글로벌 최고운영책임자 호세 무뇨스 사장이 아이오닉9 앞에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E-GMP 기반 전동화 대형 SUV인 아이오닉9은 110.3kWh 배터리를 탑재해 국내 기준 1회 충전으로 532km 주행이 가능하다. 아이오닉9은 2025년 초 국내 판매 예정이다. 연합뉴스

◆ 관세장벽 현실화 자동차·배터리 '흐림'

올해 하반기 수출 상승세에 힘입어 '대체로 맑음'이었던 자동차·2차전지·섬유패션 업종은 내년에는 '흐림'(어려움)이 예상된다.

특히 자동차 산업은 트럼프 당선에 따른 통상 환경 악화, 중국 자동차 산업 팽창이 위협요인으로 꼽혔으며 이에 따라 내년 수출은 올해보다 3.1% 감소한 270만대로 예상됐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는 "한-필리핀 FTA 발효에 따른 5% 관세 철폐, 하이브리드카의 수출 증가세 등 호재 요인에도 대미흑자 비중이 가장 높은 자동차·자동차부품의 추가 관세 도입 가능성과 코로나 이후 대기수요 소진으로 인한 주요국의 재고량 증가, 보호무역 정책에 따른 현지화 비중 증가 등 불확실성 요인이 더 크다"고 분석했다.

배터리 산업의 경우 중국에서 과잉 생산된 저가 제품이 유럽 등 주요 시장에 판매되는 것을 가장 큰 하방 리스크로 꼽혔다.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중국 배터리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중국 제외)은 2021년 18.2%에서 올해 상반기 38%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반면 최근 주요국들의 에너지저장장치(ESS) 수요 급증에 따른 수주 확대와 대중 고율 관세부과에 따른 반사이익은 긍정적 요인이다.

이 밖에도 석유화학 산업은 누적된 신증설 물량과 구조적 공급 과잉으로 단기간에 드라마틱한 시황 반전은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건설업 부진도 지속할 전망이다. 철강 산업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부과 및 수입쿼터 축소 가능성은 물론 자동차·건설 등 수요 산업 부진 등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됐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한층 격화될 미중 무역 갈등과 중국의 저가공세에 더해 국내 정치 혼란에 따른 불확실성 지속이 업종 전반의 성장세 하락을 부추기지 않을까하는 업계의 우려가 큰 상황"이라며 "정부의 실리적 외교 노력은 물론, 첨단산업 인프라 구축 지원 등 시급한 경제법안들의 국회 처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