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기업 과반수는 현장 인력 수급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대구상공회의소가 지역 기업 443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지역기업 현장인력 수급 및 외국인 고용현황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55.4%가 현장인력 수급에 어려움을 호소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59.7%)이 유통(50%), 건설(52.9%)에 비해 인력수급에 어려움을 겪는 비율이 더 높았다. 특히 섬유(68.1%)가 가장 심각한 인력난을 체감하고 있었다.
현장인력 수급에 어려움을 겪는 원인으로는 '현장 근무 기피 현상'(37.6%)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채용가능 인력부족(청년층 유출, 인구감소 등)'과 '낮은 급여와 복지 수준'이 각각 23.3%를 차지했고 '도심과 떨어진 근무지'(13.8%)도 뒤를 이었다.
현장인력 수급 해소를 위한 현실적인 대안으로 '60세 이상 근로자 계속 고용'(32.4%)을 가장 많이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급여 및 복지여건 개선을 통한 청년층 고용'(28.8%)과 '외국인 근로자 고용'(23.4%), '기계 설비 자동화'(11.7%), '인건비 저렴한 국가로 생산공장 이전'(2.3%)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응답 기업 중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기업은 35.6%, 미고용 기업은 64.4%로 나타났다.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는 이유로는 '내국인 근로자를 구하기 힘들어서' 라는 응답이 81.0%로 1위를 차지했다.
이상길 대구상의 상근부회장은 "우리 지역은 중소기업이 많아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의존도가 커지고 있는 만큼 외국인 근로자 고용 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지원책과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 [영상]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헌재 "최 대행, 헌법소원 인용시 안 따르면 헌법·법률 위반"
대통령실 前 행정관 "홍장원, 대북공작금 횡령 의혹부터 해명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