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김일성 주석을 기리는 '주체 연호' 사용을 중단한 것으로 17일 파악됐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김일성 주석과 김정은 위원장의 그늘에서 벗어나 자신을 독자적으로 우상화하려는 시도로 분석된다.
주체 연호는 김일성 주석이 태어난 1912년을 기점으로 삼는데, 지난 12일 밤부터 북한이 발표하는 성명과 담화에서 주체 연호가 사라졌다.
김정은 위원장의 지난 10일 담화나 11일 밤 발표된 외무성 중대성명에는 주체 113(2024)라고 적시됐다. 그런데 12일 밤에 나온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의 담화에는 주체 연호 없이 '2024년'이라고만 언급됐다.
이후 나온 김여정 담화와 15일 조선인권연구협회 대변인담화에서도 주체 연호 없이 서기만 표기됐다.
또한 지난 12일 오전 발행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 지면과 홈페이지의 제호에는 주체 113(2024)이라고 적시됐다. 그러다 13일자 지면과 홈페이지에는 서기로만 표기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를 종합하면 지난 12일 낮부터 주체 연호를 쓰지 말라는 지시가 하달된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은 1997년 7월 8일 김일성 3주기를 맞아 그가 태어난 1912년을 주체 1년으로 하는 연호를 제정했고, 그해 정권 수립일인 9월 9일 사용하기 시작했다.
27년간 사용한 주체 연호 사용을 중단한 것은 선대의 후광에서 벗어나겠다는 김정은 위원장의 뜻으로 풀이된다.
이번 조치는 선대의 흔적을 지우는 것뿐만 아니라 김정은 위원장의 우상화를 본격화하려는 시도일 가능성도 있다.
북한은 지난 5월 당 중앙간부학교에 김 위원장의 초상화를 김일성·김정일의 것과 나란히 걸었다.
지난 6월에는 당 간부들이 김정은 위원장만 새겨진 초상휘장을 착용한 채 등장한 장면이 포착됐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에게 "올해부터 보여온 김정은 독자 우상화의 하나로 보인다"고 밝혔다.
김정은 위원장의 이런 조치가 정상국가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일환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주체연호가 봉건적 습성의 형식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이런 인격화된 연호 사용이 현대적인 국가를 표현하는 데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이재명 "대구·경북의 아들 이재명, TK 재도약 이끌겠다"
안 "탈당해야" 김·홍 "도리아냐"…국힘 잠룡들 尹心 경계 짙어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