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사장 "13년째 철도요금 동결, 인상 필요…올해 부채 21조원 가까이될 것"

입력 2024-10-11 14:13:49 수정 2024-10-11 14:26:31

"장기적으로는 용산 역세권 개발 등으로 부채 줄일것"

11일 오전 대전 한국철도공사에서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한문희 한국철도공사 사장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11일 오전 대전 한국철도공사에서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한문희 한국철도공사 사장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문희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사장은 11일 21조원에 육박하는 코레일 부채와 관련 "13년째 간선철도 운임이 동결된 상태라 인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 사장은 이날 대전 코레일 본사에서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부채 해소 방안을 묻는 한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말했다.

한 의원이 '철도 운임 현실화가 필수 불가결할 것 같은데 타개할 방안이 없느냐'는 취지의 질문을 하자 한 사장은 "(부채 규모가) 20조원이 넘어서 올해는 21조원 가까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한 사장은 "운임 인상이 일시적인 재정에 매년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며 "장기적으로는 용산 역세권 개발 등을 통해 부채를 줄이는 방법이 있을 것 같다"고 했다.

코레일과 에스알(SR)을 통합해 불필요한 중복 비용을 해소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연희 민주당 의원은 "코레일과 SR이 진지하게 통합 논의를 해달라"며 "통합하는 것만이 비효율을 개혁할 방안"이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거버넌스분과위원회의 '철도 복수운영체제 구조평가 분석결과'에 따르면 코레일과 SR 경쟁체제로 연간 406억원의 중복 비용이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윤진환 국토교통부 철도국장은 "현재 선로 사용료를 상대적으로 SR이 많이 내기 때문에 고속철도 부채를 조기상환하는 측면이 있다"며 "교차운행을 위해선 차량의 정비 방안이나 이례적인 상황에 대한 대처 방안 등의 검토가 먼저 선행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코레일과 SR에서 구체적인 내용이 검토가 된다면 나중에 면밀하게 검토해 보겠다"며 "현재로서는 비교경쟁체제에 대한 수요가 있어 경쟁체제를 건강하게 가져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