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말자"던 임종석 "尹정부야말로 김정은 기조에 동조…협력이 어려운 얘기냐"

입력 2024-09-23 15:19:22 수정 2024-09-23 15:56:36

지난 9월 19일 오후 광주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지난 9월 19일 오후 광주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 6주년 기념식'에서 임종석 2018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은 '두 국가론'을 수용하자는 자신의 주장을 두고 정치권의 설전이 이어지자 23일 "가치와 지향만을 남긴 채 통일을 봉인하고 두 국가 체제로 살면서 평화롭게 오고 가며 협력하자는 게 뭐 그렇게 어려운 얘기인가"라고 재차 입장을 밝혔다.

임 전 실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이상에서 현실로 전환하자. 통일을 얘기해도 좋을만큼 평화가 정착되고 교류와 협력이 일상으로 자리잡은 후에 그 때 미래 세대가 판단하자는 게 이상한가"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윤석열 정부야말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적대적 두 국가'에 정확하게 동조하고 있다"며 "양쪽 모두 상대를 공공연히 주적이라 부르고 일체의 대화없이 대립과 갈등으로만 치닫고 있으니 이를 '적대적 두 국가' 상태라 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임 전 실장은 "상황을 바꾸려는 전략적인 노력 없이는 지금의 상태는 악화될 것이고 윤석열 정부 임기 말쯤에는 적대적인 두 국가는 상당히 완성돼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민주당이 다시 집권하면 예전처럼 남북 간 대화가 재개되고 비핵화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생각도 대단히 오산"이라며 "평화 공존과 협력을 위한 프로세스는 훨씬 더 복잡해졌다"고 덧붙였다.

앞서 임 전 실장은 9·19 평양공동선언 6주년 기념식에서 "통일을 꼭 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내려놓고, 단단히 평화를 구축하고 이후의 미래는 후대 세대에게 맡기자"고 제안했다.

그는 "객관적 현실을 받아들이고 '두 개의 국가'를 수용하자"며 "그러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도 분명히 말한다. 적대적인 두 개의 국가 관계는 있을 수 없다. 평화적인 두 국가, 민족적인 두 국가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 전 실장의 발언에 여권에서는 비판이 쏟아졌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는 23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주장은 북한 김정은이 하는 내용"이라며 "주사파 종북 주장하다가 말이 바뀌는 것이야말로 이런 분들의 실태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