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의 부재가 전기차 포비아의 주 요인"…데이터 플랫폼 구축 필요성 제기

입력 2024-09-05 18:30:00 수정 2024-09-05 20:53:35

한세경 경북대 전기공학과 교수 인터뷰

5일 오전 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에서 한세경 경북대 전기공학과 교수가 매일신문과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한 교수는 화재사고 예방을 위해 관련 데이터 통합 플랫폼 구축 및 운영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우태 기자
5일 오전 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에서 한세경 경북대 전기공학과 교수가 매일신문과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한 교수는 화재사고 예방을 위해 관련 데이터 통합 플랫폼 구축 및 운영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우태 기자

"전기차 포비아(공포증)의 가장 큰 요인은 '정보의 부재'입니다."

한세경 경북대 전기공학과 교수는 5일 매일신문과 인터뷰에서 전기차 화재 위험성에 대한 문제의 원인을 이같이 진단했다.

한 교수는 2차전지 전문가로, 배터리 이상 진단과 원인 규명에 관한 연구로 주목을 받았다. 한 교수는 배터리 화재가 발생하는 과정을 ▷가혹운전 ▷이상발생 ▷임팩트발생 ▷오프(Off)가스발생 ▷열폭주·화재확산 등 5단계로 구분했다. 그는 "현재 운영 중인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은 오프가스발생 단계 이전까지 화재를 감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연기가 피어오르는 등 실제 화재가 임박해서야 대응을 하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완성차·배터리 제조사가 초기 단계에서 이상을 감지한다고 해도 이를 사용자에 바로 알리지 못하는 맹점도 있다. 배터리를 구성하는 양극재와 음극재가 접촉하는 '내부단락'이 화재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데, 이상 징후가 있다고 해서 내부단락으로 이어진다고 100%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 교수는 "평소 나쁜 습관이 쌓여 큰 질병이 되는 것처럼 배터리 화재도 마찬가지다. 흡연을 한다고 모두가 폐렴 환자는 아니다. 최근 논란이 된 과충전 역시 배터리 성능 저하 및 이상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 중 하나다. 다만, 수많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반드시 화재로 이어진다고 확신할 수 없다"고 했다.

이어 "제조사는 딜레마를 겪을 수밖에 없다. 막대한 책임이 수반되기 때문"이라며 "작은 결함이 실제 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희박하다. 사소한 결함으로 수십만대의 전기차 배터리를 교체한다면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배터리 화재 위험성을 사전에 차단하는 방안으로 한 교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플랫폼 구축을 제안했다. 아직 초기 단계에서 위험성 예측이 어렵지만, 빅데이터 기반의 패턴 분석을 한다면 위험성을 사전 차단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그는 "데이터를 모아 하나의 플랫폼을 구성해 이상진단과 배터리 관리, 알림 등 기능을 수행하는 체제를 갖춘다면 화재를 예방하는 데 확실히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 교수는 "대형 화재로 공포감도 높아지면서 책임 소재 등 갈등이 커져 안타까운 마음도 있다. 배척하는 것이 정답은 아니다. 안전을 담보할 수 있도록 강화된 기준을 정립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